논문 상세보기

온대낙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계절과 고도에 따른 먹이활동 양상 연구 KCI 등재

Seasonal and Elevational Pattern of Herbivore’s Feeding Activity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9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온대활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먹이 활동이 계절 및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지난 3년간(2011~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가 다른 세 지역(피아골, 시암재, 노고단)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종(3종)을 선정하여 4월부터 6월까지 1~2주마다 초식곤충의 식흔 활동을 식흔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고도가 가장 낮은 피아골(􀎕300 m)에서 가장 먼저 식흔이 나타났고, 중간고도인 시암재(􀎕900 m)에서는 가장 많은 식흔이 조사되었다. 고도가 가장 높은 노고단(􀎕1300 m)에서는 식흔이 가장 늦게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에 급속히 식흔의 총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결과 초식곤충의 활동시기는 조류(곤줄박이)의 첫 산란일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곤충-2차 소비자(조류)와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 기후 환경이 변함에 따라 초식곤충 활동의 기간이 바뀌게 될 것이며 이러한 먹이사슬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easonal and elevational pattern of herbivore’s feeding pat-tern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We investigated the herbivore’s feeding activity for three years(2011~2013) at three survey sites in Mt. Jirisan National Park(Piagol, Siamjae, Nogodan). We selected target treespecies based on the dominance across the sites(Quercus, Acer, Rhododendron and Carpinus) and scored her-bivore’s feeding activity every one or two weeks from April to June using leaf damage index. We found thatthe herbivory started early at the low elevation site(Piagol, �300m), and the highest feeding activity occurredat the mid elevation site(Siamjae, �900m). At the highest elevation site(Nogodan, �1300m), the herbivorystarted late, but the total feeding activity accumulated quickly. Compared to the breeding time of Varied tit, aninsectivore bird, it was overlapped with the feeding activity period of herbivores, suggesting close interactionamong plants, insects and birds in this deciduous forest. We suggested a need of long-term monitoring of thistri-trophic interaction since duration of herbivore activity can be changed followed by climate change.

저자
  • 김낭희(목포대학교 생물학과) | Kim, Nang-Hee
  • 최세웅(목포대학교 환경교육학과) | Sei-Woong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