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공원 식재유형별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및 토양호흡량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Carbon Storages, Annual Carbon Uptake and Soil Respiration to Planting Types in Urban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0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두정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식재유형별 수목의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연간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정공원에서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각 식재림을 분석하였다.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수목의 흉고직경을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Li-64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에서의 탄소저장량은 각각 17.36, 88.63, 115.38, 49.88 ton C ㏊⁻¹ 였고,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1.04, 2.12, 6.47, 3.67 ton C ㏊⁻¹ yr⁻¹로 산정되었다. 개체목당 평균 연간 탄소흡수량은 소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에서 각각 1.81, 17.86, 9.14 ㎏ C·tree yr⁻¹로 상수리나무가 가장 높았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각 식재유형별로 2.20, 1.90, 2.47, 2.51 μ㏖ CO2 m⁻² s⁻¹로 측정되었고 연간 토양호흡량은 각각 6.66, 5.33, 7.20, 7.25 ton C ㏊⁻¹ yr⁻¹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식재유형 중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이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이 가장 많아 공원의 탄소흡수원 역할에 크게 기여했고, 소나무식재림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수목의 식재와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compared carbon storages, annual carbon uptakes and annual soil respiration by planting type in Dujeong park, Cheonan city. Four plantations were selected in Dujeong park: Pinus densiflora plantation,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We investigated each plantations from February 2012 to March 2013.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uptake in each plantations were calculated with allometric method (Lee, 2003), and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by using LI-6400 (LI-COR). Carbon storages in Pinus densiflora plantation,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were 17.36 ton C㏊⁻¹, 88.63 ton C㏊⁻¹, 115.38 ton C㏊⁻¹ and 49.88 ton C㏊⁻¹, and annual carbon uptakes were 1.04 ton C ㏊⁻¹ yr⁻¹, 2.12 ton C㏊⁻¹ yr⁻¹, 6.47 ton C㏊⁻¹ yr⁻¹ and 3.67 ton C㏊⁻¹ yr⁻¹, respectively. Average annual carbon uptakes per tree of Pinus densiflora plantation,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were 1.81㎏C·tree yr⁻¹, 17.86㎏C·tree yr⁻¹ and 9.14㎏ C·tree yr⁻¹ and Quercus acutissima was the greatest. The amounts of carbon released from soil respiration in the same four plantations were 2.20 μ㏖CO2 m⁻² s⁻¹, 1.90 μ㏖CO2 m⁻² s⁻¹, 2.47 μ㏖CO2 m⁻² s⁻¹ and 2.51 μ㏖CO2 m⁻² s⁻¹, and annual soil respiration were estimated 6.66 ton C㏊⁻¹ yr⁻¹, 5.33 ton C㏊⁻¹ yr⁻¹, 7.20 ton C㏊⁻¹ yr⁻¹ and 7.25 ton C㏊⁻¹ yr⁻¹, respectively. In this study area, Quercus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h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ole of carbon sink. However, the con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plantation was evaluated 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necessary data for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in urban park.

저자
  • 한미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Mi-Kyoung Han
  • 김경진(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Kyeong-Jin Kim
  • 양금철(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Keum-Chul Y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