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용기 및 온도에 따른 저장 중 메밀 속성장의 품질특성 KCI 등재 SCOPUS

Effect of the container and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Soksungjang during stor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0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메밀 속성장의 저장, 유통 과정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30일간 발효, 숙성 시킨 메밀 속성장을 다양한 용기(항아리, 플라스틱, 유리)에 담아 5℃, 15℃, 25℃에 저장시킨 후 기간에 따른 pH, 산도, 아미노태 질소,총 균수, 색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항아리(15℃,25℃)에 저장되었던 실험군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은 저장기간 동안 초기의 pH 4.5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아리(15℃, 25℃)시료는 pH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 98일에는 각각 pH 5.6, pH 7.4로 증가 하였다. 또한 항아리(15℃, 25℃)에 저장되었던 실험군의 산도는 저장기간에 따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항아리(15℃)시료는 저장 98일(1.85%), 항아리(25℃) 시료는 저장 91일(0.71%)에 낮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플라스틱(25℃) 실험군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저장 98일에 0.751%이었으며, 항아리(25℃)에 저장된 실험군은 0.92%로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저장기간 동안 샘플의 총균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전체적으로 뚜렷한 증가나 감소의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색도의 경우, 항아리(25℃)에 저장된 시료의 경우, L, a, b의 모든 값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저장 온도가 높을 수록 L 값이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메밀 속성장의 저장, 유통과정에서 25℃보다 5~15℃를 유지하는 것이 품질 변화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항아리와 플라스틱에 비하여 유리병에 보관하는 것이 제품을 보존하는데 있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메밀 속성장의 저장성 및 유통기한 설정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regarding the quality change of buckwheat soksungjang (BWS) during its storage. BWS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ontainers (pot, plastic, and glass) and was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5, 15, and 25℃), and the changes in pH, acidity, amino-type nitrogen, total bacterial count, and chromaticity were examin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pH (0 day, pH 4.37) and acidity (0 day, 2.93% acidity) of the samples, except at the 15 and 25℃ po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during storage, but 98 days after storage, the pH values of the 15 and 25℃ pots were pH 5.6 and 7.4, and their acidity values were 1.85 and 0.71%, respectively. At 98 days, the amino-type nitrogen of the 25℃ plastic sample had slightly increased to 0.75±0.01%, and that of the 25℃ pot had drastically risen to 0.92±0.01%. It was also shown that little change in the total bacterial count was foun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in every sample. The chromaticity results confirmed that the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of the 25℃ pot sample showed relatively large changes during storage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rable storage temperature of BWS is in the range of 5-15℃, and that a glass container is the most suitable container for BWS as it can reduce the quality alteration during storage.

저자
  • 이선영(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Sun Young Lee
  • 백수화(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Soo Hwa Baik
  • 최혜선(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Hye Sun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