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의 향기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Floral Fragrance in Sedirea japonicum and Fragrant Phalaenop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1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한국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 계통(VIO-6)을 대상으로 하여 꽃향기 성분과 향기패턴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GC/MS 기기를 이용한 꽃향기의 chromatogram peak 양상을 비교한 결과, 나도풍란에서 약 15개의 다양하고 높은 peak가 나타났고 호접란에서는 약 17개의 peak가 나타났으나 피크의 강도와 검출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도풍란의 꽃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linalool, benzoic acid methyl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 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성분들이 향기 발현에 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향종 호접란의 꽃 향기 성분분석에서는 +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linalool isomer, 1,6-cyclodecadiene, bicyclo[2.2.1] heptane등이 주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도풍란과 호접란에서 발현되는 공통적인 향기성분으로는 linalool, geraniol 등의 terpenoid이었으며 호접란과는 달리 나도풍란만 강하게 나타난 성분은 benzoicacid methyl ester(niobe oil) 였다. 이 성분이 나도풍란의 향기의 특징을 구분짓는 주요성분으로 사료되었다. GC/SAW 전자코 분석을 통해 유향성 호접란과 나도풍란에서 chromatogram의 peak와 VaporPrint™ 이미지 분석에 의한 각각 특징적인 전자코 향기패턴을 얻어내었다. 호접란과 나도풍란의 전자코 향기 패턴을 비교해 본 결과 서로 상이성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이 전자코 향기패턴 분석 자료는 앞으로 나도풍란과 호접란의 속간잡종에서의 향기성분 유전 양상 연구와 꽃 향기에 관여한 유전자 분리와 도입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flower scent components and fragrance pattern between Nadopoongnan (Sedirea japonicum) and fragrant Phalaenopsis Breeding line (VIO-6). From chromatogram obtained by GC/MS, fifteen peaks in Nadopoongnan and relatively weak seventeen peaks in fragrant Phalaenopsis were detected. In the analysis of fragrance components in the Nadopoongnan, (+ -)-linalool, benzoic acid methyl 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 were identified as majorcomponents for floral scent. But in the case of fragrant Phalaenopsis, + 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 linalool isomer, 1,6-cyclocadiene, bicyclo [2.2.1] heptan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mpounds. Terpenoids like linalool and geraniol were common components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Specially niobe oil was unique component found only in Nadopoongnan. This could be a key component of floral scent of Nadopoongnan discernible from other flower scent. In the comparison of GC/SAW electronic nose analysis of flower scent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GC chromatogram and fragrance image pattern were quite different. This data of fragrant pattern may be useful to investigate inheritance of flower scent gene and to breed new fragrant intergeneric hybrids in orchids.

저자
  • 빈철구(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Chul Gu Been Corresponding author
  • 김강권(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Kang Kw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