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abell' is a new ornamental crabapple cultivar bred in 2020 at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was selected from seedlings obtained through the open-pollination of Malus baccata collected from Mt. Palgong, Gunwi-gun, and Gyeongsangbuk-do. Line selection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6, and characteristic tests were evaluated from 2017 to 2019. The tree vigor and form of 'Hanabell' were determined to be medium and spreading, respectively. The flowering season of 'Hanabell' starts on April 17th and ends on May 2nd, lasting approximately 15 days. The size of 'Hanabell' flowers is approximately 48 mm, larger than that of general apple flowers, and they have a high ornamental value due to the abundance of blooms each year. Furthermore, 'Hanabell' possesses a distinct floral scent that releases a significant amount of benzyl acetate (C9H10O2) into the air during flowering, attracting bees. Subsequently, 'Hanabell' was officially submitted for variety protection to the KoreaSeed & Variety Service in 2021(Applicationno.2021-144).
        4,0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류 중 절화류의 화색과 향기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주 요한 육종 목표로써 인지되어 왔다. 최근 다양한 소비자 계층이 증가하면서 파란색 장미, 카네이션 등과 같은 특이화색이 라든지, 독특한 향기를 갖고 있거나 그 강도를 조절하고자 하 는 연구방향 또한 다양해졌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수 행하고 있는 교배방식으로는 특정 목표형질을 가진 품종을 개 발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래서 화색과 향기와 관련한 형질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공학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연구 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화색과 향기의 관련 식물 대사산물을 생산 하는 것을 비롯하여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조절하는 방 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많은 예 중에 화훼작물의 화색 과 향기를 조절한 성공한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우리 가 원하는 방향에 가까운 화색과 향기의 특정 형질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것들은 잘 응용하여 추후 좀 더 많은 화색과 향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4,500원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절화장미 품종의 향기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방향성 장미 육종을 위한 유전자원의 정보로 활용하고 향기 나는 장미 꽃의 이용도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총 78품종을 주요 향기 성분에 따라 4개 그룹(aromatic compound, fatty acid derivative, terpene 및complex fragrance)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그룹은 100개 이상의 향기성분의 조성과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Aromaticcompound계 그룹의 주요향기 성분은 dimethoxytoluene,phenylethyl alcohol, trimethoxybenzene, ρ-anisaldehyde 등이며 ‘For You’, ‘Vital’, ‘Cool Water’, ‘Golden Gate’ 및‘Orange Flash’ 등 44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Fatty acidderivative계 그룹의 주요 향기 성분은 hexanol, hexenal,heneicosane, docosane, nonadecane 및 nonadecene이며‘Green Beauty’, ‘Amor’, ‘Aqua’ 및 ‘Dreaming’ 등 13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Terpene계 그룹의 주요 향기성분은 germacrene-D, geraniol 및 nerol이며 ‘Blue Moon’,‘Charming Easies’, ‘Extasy’ 및 ‘Lovely Blue’ 등 12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Complex fragrance계 그룹은 위의3가지 그룹의 성분이 혼재되어 있었으며 ‘Boy Friend’,‘Pacific Blue’ 및 ‘Red Calypso’ 등 12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절화장미 품종은 주로 aromatic compound계 그룹에 속하고 있었다.
        4,000원
        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자코와 GC/MS 기기를 이용하여 나도풍란의 꽃에서발현되는 주요 향기성분 및 향기발현패턴을 분석하였다.전자코와 GC/MS 의 분석을 통해 전자코에서는 약 9개의 chromatogram peak 를 얻어냈고, GC/MS 기기분석에서는 약 13개 정도의 chromatogram peak를 얻어냈다. 전자코 peak 중에서 6가지 종류가 GC/MS chromatogrampeak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즉 retention time 3.2초,4.2초, 5.4초, 5.8초, 6.3초, 6.9초의 peak였으며 그 peak에 해당되는 향기성분들은 각각 2-furanmethanol, linalool,citronellol, neral, nerodidol, benzoic acid, hexadecanoicacid, 1,2-benzenedicarboxylic acid로 추정되었다. 나도풍란군집에서 개체별로 향기발현량과 향기패턴을 비교분석한결과 주요성분으로 예측되는 6개 peak는 모든 개체에서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체간 발현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의 발달단계별 향기발현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에서 꽃의 발달 단계중 꽃봉오리 상태와 노화된 꽃에서는 향기발현량이 적었으며 꽃이 완전개화한 화서 중앙부위에 있는 꽃들에서 가장 많은 양의 향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의 기관별 향기분석에서는 나도풍란 꽃의 주요향기성분이 주로 sepal과 petal조직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olumn과 spur에서는 발생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 시간대별 주요향기성분의 발현량과 패턴을 분석한 결과 오전11시에 가장 높은 향기발현량을 보였으며 오후 5시 이후부터 향기발현량이 현저히 줄기 시작하여 저녁 8시 이후에는 향기성분이 발생되지 않았다. 빛 조사가 향기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암처리와 광처리후 향기양과 패턴을 분석한 결과 암처리에서는 40시간 이후부터는 대체로 향기성분이 계속 줄어들었으며, 40시간연속적으로 빛을 조사한 후 20시에 전자코 분석을 한 결과 오전 시간대와 동일한 향기발현량과 발현패턴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를 통해 빛의 조사시간 및 생체리듬주기가 향기발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4,0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 mor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by agar-well diffusion assa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had a large inhibition zones especially against Salmonella enterica(21 mm) and Bacillus cereus(l9 mm).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generally show4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m-positive bacteria than Gram-negative bacteria. MIC of essential oil from C. morifolium was 5㎕/㎖ against ten food-borne pathogens. MBC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from 5 to 20㎕㎖ against eight bacteria except Salmonella choleraesu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refore, the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and its components have a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novel food preservative.
        4,000원
        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나리 계통간의 꽃 의 향기 조성을 비교하고 향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개화 단계를 파악하고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향기성분 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아시아틱나리 ‘Enchantment’, 나팔나리 ‘Georgia’, 그리고 오리엔탈나리 ‘Con Amore’의 꽃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여 개화 단계 및 꽃의 기관별 향기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시아틱나 리는 3개의 피크, 나팔나리는 4개의 피크, 오리엔탈나 리는 6개의 피크로 계통간에 향기성분의 차이가 컸다. 향기 함량은 오리엔탈나리에서 가장 많았고, 아시아틱 나리에서 가장 적었다. 향기의 최대 발생시기의 경우, 아시아틱나리는 개약 단계인데 비해 나팔나리와 오리 엔탈나리는 위조단계였다. 송이 당 꽃향기의 최대발생 기관의 경우 아시아틱나리는 외화피, 나팔나리는 화병, 오리엔탈나리는 내화피였다.
        4,000원
        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atricaria recutita and Dendranthema indicum are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nd they are used as processed foo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lowers during cul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using M. recutita and D. indicum.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17 at Unbong-eup (500 m above sea level) in Namwon, Jeollabuk-do.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planted in late May. Then, flowers were collected in October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method. Samples of flowers for component analysis were weighed in 0.4 g each and placed in a 20 ㎖ vial. GC/MS was used with Agilent Technologies 7890A/5975C (Agilent, USA). Column and carrier gas were DB-5MS (30 m × 0.25 ㎜ × 0.25 ㎛) and helium ga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 recutita flowers, we identified a total of 24 compon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 terpenes and ketones. The main compounds were β-ocimene (24.08%), artemisia ketone (22.82%), γ-terpinene (16.65%), cis-3-hexenyl isovalerate (3.92%), artemisiatriene (3.72%) and O-cymene (3.4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D. indicum flower, we identified 33 kinds of ingredi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The main compounds were sabinene (19.67%), trans-oiperitol (13.22%), α-phellandrene (10.05%), myrcene (7.53%), cineole (4.36%), α-terpinene (3.60%) and trans-ocimene (3.57%). Conclusion : We identified 24 flavor components and 33 flavor components in flower of M. recutita and D. indicum, respectively. Eight of the identified or estimated compounds were common to both samples. The reason why the flavor components kinds of M. recutita flowers were few was thought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collection time. The main flowering period of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but the use of the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seemed to have influe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