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흑염소의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및 질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Feeding Level of Concentrate on the Digestible Nutrient Intake, Using Efficiency of Nutrients and Nitrogen Retention of Korean Black Goat Fed Whole Crop Barley Sil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1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조사료원으로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구 (볏짚+농후사료 체중의 2.0%, 청보리 사일리지 + 농후사료 체중의 2.0%, 체중의 1.5%, 체중의 1.0%)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1일 두당 가소화 조단백질 섭취량은 대조구,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사료를 1.0% 급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소화 NFC 섭취량은 청보리 사일리지와 농후사료를 체중의 2.0%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농후사료를 1.0% 급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일당 증체량은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알리지+농후사료 1.5%, 볏짚+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1.0%,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p< 0.05). 건물소화율은 청보리 사알리지와 농후사료를 1.5% 급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대조구와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 사료 1.0% 급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사료원으로 급여시 육성기 흑염소의 생산성과 효율적인 영양소 이용을 위한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1.5%가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level of concentrate on the digestible nutrient intake, using efficiency of nutrients and nitrogen retention of growing Korean black goats (KBG) fed on whole crop barley (WCB) silage. WCB silage with concentrates at 2.0% (BS2.0), 1.5% (BS1.5) and 1.0% (BSl.0) of BW, respectively, and rice straw with concentrate at 2.0% (RS2.0) of BW as a control. Goats for digestibility trials were assigned within each group with three animals to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with Latin square design.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intakes goats in control, BS2.0 and BS 1.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BS1.0 (p<0.05). Digestible NFC intakes of goats in BS2.0 and BS1.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BS1.0 (p<0.05). The highest Average daily gain (ADG) were recorded in group BS2.0 followed by BS1.5, RS2.0 and BS1.0 (p<0.05). The highest DM digestibility was shown in group BS1.5 treatments (p<0.05). Nitrogen retentions in RS2.0, BS2.0 and BS1.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BS1.0 (P<0.05).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feeding level of concentrate seems to be proper at 1.5% of BW to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when black goats are fed WCB silage as a roughage source with concentrate.

저자
  • 최순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un Ho Choi
  • 황보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oon Hwangbo Corresponding author
  • 김상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ang Woo Kim
  • 김원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Won Ho Kim
  • 조익환(대구대학교) | Ik Hwan 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