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계사료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Silage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Feeding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Silage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Black Go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샤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T4)}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과 유기물 섭취량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섭취량도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ADF와 NDF 섭취량은 IRG>HV> 총체보리 단파>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IRG와 HV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질소섭취량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총체보리와 헤어리베치 혹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가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척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nutritive value of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eeding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in KBG (Korean black goat) on feed intak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The 12 male KBG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i.e. T1: barley silage added group, T2: mixed-sowing hairy vetch silage added group, T3: mixed-sowing field peas added silage, T4: mixed-sowing ltalian rye grass added silage group. Three KBG per each treatment were allotted into individual metabolic cages by Latin-square desig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MI (dry matter intake) and organic matter intake in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and crude protein intake in T4 also recorded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The highest values in intakes of ADF and NDF were observed in T4 followed by T2, T1 and T3 in order. Th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s in T4 and T2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dry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 T1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in T2 and T4. The nitrogen intakes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3.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eeds supplemented with whole crop barley with hairy vetch and Italian rye grass mixture silage increased KBG productivity resulted from increases i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저자
  • 황보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oon Hwangbo
  • 조익환(대구대학교) | Ik Hwan Jo Corresponding author
  • 정기웅(대구대학교) | Gi Woung Jung
  • 김원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Won Ho Kim
  • 임영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Young Cheol Lim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 Jong Du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