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第7次 高等學校 漢文敎育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KCI 등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Media­base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끊임없이 변화하는 敎育 環境 속에서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하는 敎授·學習 方法에 대한 관심과 고민은 敎師들의 오랜 숙제이다. 이 해결 方案으로 媒體를 이용한 漢文 敎授·學習 方法들이 최근 많이 硏究되어 學校 現場에 적용되고 있다. 이 論文은 제7차 고등학교 漢文敎育에서 活用하는 교육 媒體의 實態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한문과 媒體 活用 교육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目的을 둔다.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초기에 나타난 한문과의 授業 양상은 전통적 授業 방식에서 벗어나 컴퓨터를 活用한 Web 기반 授業, ICT 活用授業, CAI 프로그램 授業 등, 상호작용 媒體를 이용한 授業으로 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었고, 自己主導的 學習에 寄與하였다. 고등학교에서 活用하는 媒體 실태 조사를 위한 방법으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기인 2002~2007년 사이에 발간한 『漢文敎育』, 경기도한문교과연구회 연수자료집, 경기도수업실기대회 지도안, 전국교육자료전 입상작의 지도안 및 수업사례 자료, 인터넷 사이트 자료, 현직 교사 설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조사에 따르면 고등학교 漢文 敎師는 대체로 媒體를 活用한 교육의 必要性을 認識하고 있고, 媒體의 活用은 授業의 도입과 전개의 과정에서 주로 사용하며, 漢文敎育에 가장 효과적인 媒體는 파워포인트라고 생각하고 있고, 실제 授業에서도 파워포인트를 活用한 授業이 많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는 달리 학생들은 플래시를 活用한 授業이나, 인터넷 자료를 活用한 授業에서 가장 많은 興味를 가지고 있었다. 현장의 敎師가 媒體를 活用한 授業의 어려움은 授業의 목표달성에 타당한 媒體가 부족하고, 媒體가 있다하여도 이를 活用할 能力이 부족하다는 敎師들도 상당 수 있었다. 고등학교에서 活用하고 있는 媒體는 대략 26종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媒體의 種類가 多樣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媒體는 漢字·漢字語 學習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고등학교 授業에서는 한문 문장 학습에 媒體가 가장 많이 活用되는 특징을 보였다. 앞으로 媒體를 活用한 의사소통이 강화될 것임을 감안한다면, 媒體를 活用한 교육이 활성화될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다음의 사항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첫째, 다양한 授業 방법과 媒體를 이용하여 漢字, 漢字語, 漢文의 3개 영역이 가능한 통합적인 지도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한문과의 다양한 媒體 活用을 위해서는 漢文敎師가 媒體를 活用할 수 있는 능력 배양 교육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媒體를 活用한 敎授·學習 方法의 연구는 철저한 이론을 바탕으로 敎授·學習의 方法을 구체화하여 技法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模型의 차원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敎育 媒體를 活用한 授業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교육 環境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고등학교의 해결책으로는 漢文 교과교육 전용 교실의 확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In the continuous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How to teach’ has long been a question to be answered by teachers. In order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in teaching learning, many media based classical Chinese teaching learning methods have been being studied and applied to school education.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media utilized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identify problem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n media based education, and to propose solutions for the problem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7th High School Curriculum, the classical Chinese class adopted Web based teaching, ICT based teaching, CAI programs and interactive media using computers, and such attempts drew students’ attention and contributed to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The current state of media utilized in high school were surveyed using materials published from 2002 to 2007,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er training materials of the Gyeonggi do Socie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plans at the Gyeonggi do Teaching Skill Contest, prize winning teaching plans and class cases at the National Teaching Material Exhibition and materials on Internet sit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field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teachers gener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media based education, and they used media mainly in the introductory and development stages of class. They also thought that PowerPoint is the most effective medium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used PowerPoint most frequently in their class. Different from teachers, stu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classes using Flash or Internet materials. Difficulties that many field teachers had in media based classes were lack of media suitable for attaining class goals and lack of skills in using media even if such media are available. Around 26 kinds of media were being utilized in high school, and media types were being diversified over time. In general, media were used often in learning Sino Korean characters and Sino Korean words, but in high school classes they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learning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ssuming that media based communication will be augmented further in the future, it is not difficult to anticipate the activation of media based education.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media based education, i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areas, Sino Korean character, Sino Korean word and classical Chinese, should be taught integratively u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edia. Second, in order to utilize various media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ore attention and research are required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s to develop their skills in utilizing such media. Third, research on media based teaching learning methods should concretize teaching learning methods based on thoroughly validated theories and refine them into models rather than mere skills. Fourth, we need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use of educational media in classroom. A solution for this need in high school is preparing classrooms exclusive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저자
  • 김병철(군포고등학교) | Kim, Byeong-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