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KCI 등재

The Research of 「Jocheonnok」 by Baeksa Lee. Hang bo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本稿는 白沙李恒福이 ‘丁應泰의 誣告事件’을 해결하기 위해서 陳奏使로 明에 다녀오면서 見聞과 所懷를 기록한 「朝天錄」을 연구함으로써 文學世界와 함께 使行文學으로써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使行文學은 使命의 완수를 위한 公的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紀行文學과는 다른 성격을 갖고 있지만, 使臣은 일반적으로 뛰어난 文士중에서 선발되었기 때문에 창작된 작품의 수준이 높았으며, 특히 白沙의 「朝天錄」은 對明關 係使行文學硏究에 중요한 작품으로써의 가치를 갖고 있다. 「朝天錄」의 문학세계는 크게 ‘異國景物에 대한 稱歎’, ‘使行旅程의 哀歡’, ‘憂國愛民의 衷情’, ‘歷史의 鑑戒’로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다. 「朝天錄」의 문학적 의의는 기존의 使行錄에 비하여 한층 발전적인 모습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후대 使行錄과 使行文學이 내용과 형식면에서 다양하고 우수한 많은 작품들이 창작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남은 과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使行文學에 대한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使行文學고유의 문학적 의의를 도출해 내고, 또한 古文家로서 인정을 받았던 白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emissary literature by studying "Jocheonnok" in which experiences and impressions on the way to Ming are recorded by envoy Baeksa Lee Hang-bok to solve the false charge case on Jeong Eung-tae. Emissary literature is different to general travel literature because it has a public goal to accomplish an envoy mission. However, emissary literature works are excellent because they were written by envoys selected among excellent literary men. In particular, Baeksa's Jocheonnok is valuable as an important work for the study of the emissary literature related to Ming. The literary world of Jocheonnok can be analyzed by roughly dividing it into "impression on foreign culture," "joys and sorrows of the envoy trip," "patriotism," and "historical lessons." Jocheonnok is meaningful in literature in that it was likely to have an effect on the creation of excellent emissary literature works with various contents and styles by suggesting more developed contents and styles compared to the existing emissary literatu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discover the unique significance of emissary literature by investigating its characteristics which have not been fully researched and to study on Baeksa who was recognized as an brilliant literary man in old times.

목차
Ⅰ. 緖論
Ⅱ. 「朝天錄」의 文學世界
1. 異國景物의 稱歎
2. 使行旅程의 哀歡
3. 憂國愛民의 衷情
4. 歷史의 鑑戒
Ⅲ. 「朝天錄」의 文學史的 意義
Ⅳ. 結論
저자
  • 이성형(평촌정보산업고등학교) | Lee, Soung-h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