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리권 전수조사 및 물수지 분석을 이용한 삽교천 유역의 시·공간적 물부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Water Shortage in Sapgyo Catchment Employing Total Water Right Survey and Water Balanc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8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천 유역에서 하천수 사용 허가량 뿐만 아니라 허가이외 수리권을 모두 고려한 시공간적 물부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전체 용수이용량 중 농업용수 이용량은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허가이외 농업용수의 비율이 83%로 해당유역에서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2011년간의 물수급에서는 삽교천 16개 표준유역 중 곡교천 상류에서만 물부족이 예측되었으며, 2009년 관개기 농업용수 사용으로 인한 물부족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강수량이 부족하고 이앙용수가 많이 사용되는 4∼5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허가이외 수리권을 제외하였을 경우에는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아, 허가이외 수리권 관리의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patio-temporal water shortage distribution in the Sapgyo catchment considering both permitted and non-permitted water rights obtained from the total water right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ricultural water accounted for 98% of the total water uses with 83% being the non-permitted agricultural water uses. During the 11-year(2001∼2011) simulation period, water shortage was shown only in the upper Gokgyo stream sub-catchment with the highest water stress from April to May in 2009, particularly because of the large demand for rice cultivation associated with low precipitation. As water shortage was not expected to happen when the permitted water rights were not considered, it was concluded that a proper management of non-permitted water rights would be urgent.

저자
  • 박정은(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Park, Jung Eun
  • 김영석(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Kim, Young Seok
  • 김정곤(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Kim, Jeongkon 교신저자
  • 고덕구(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Koh, Deuk K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