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南·北韓 初等 敎育用 漢字 比較 KCI 등재

Comparison of elementary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9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2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분단된 지 어느덧 반세기를 훌쩍 넘긴 우리 민족은 정치·사회적으로는 물론 교육·예술·문화 부문에서도 교류가 끊긴지 오래되어 단일 민족의 동질성을 찾아내기가 점차 어려워져 날이 갈수록 남북한 민족 당사자 서로간에 심한 이질감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민족 동질성 회복 차원에서 서로 달라진 내용들을 찾아 시급히 이질감을 해소하고 다시 분단 이전의 하나로 복원해야할 분야로 교육 부문을 들 수 있다.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과 같이 교육이 곧 통일된 우리 민족의 미래를 설계하는 반석이기 때문이다. 교육 분야 가운데에서도 교류와 협력의 중요성이 두드러지는 부문으로 국어 교육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한자 교육의 동질성 여부는 우리말 대부분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관심을 기울어야 할 분야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자 교육 부문에서 남과 북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는 작업은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해서 소홀히 할 수 없는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남과 북은 현재 양측 공히 정규 교육기관에서 한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초등 교육기관에서 공식적으로 교육하는 초등 교육용 한자의 실체를 무엇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한의 1,2차 교육과정 시행기 초등학교에서 교육하였던 국어 교과서의 한자와 한자어들과 함께, 남한의 초등학교 5,6학년의 학령에 해당하는 북한의 고급중학교 1,2학년에서 배우는 한문 교과서의 한자와 한자어를 비교하여 분단 이후 달라진 남북한 한자의 훈음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남과 북의 초등 교육용 한자 중 약 15%의 한자의 훈음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나 향후 남과 북의 교류와 통일 시대를 맞아 우리 국어의 일부분인 한자어의 바른 사용과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라도 남북간에 그간 달라진 훈음의 통일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ur race, under half century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felt sever heterogeneity between the peoples concerned South and North Korea. The long time severance, not only in the fields of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but also education, art and culture made us more difficult to find the national homogeneity a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Therefore, restoration of the educational field in a point of recovering racial homogene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required after figuring out the heterogeneity and cancellation of it. Considering the proverb “ education is one hundred year master plan” education is the foundation of planning of our future as a unified nation. Korean languages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for inter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ue to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i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 the degree of the homogeneity 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specially concerned. Because of this reasons, the research on the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foundations and necessary for recovering the racial homogeneity. Even though,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educated Chinese character at regular education institu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entity of the educational elementary school Chinese character. In this paper,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written Chinese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textbook of South Korea that was used during 1st and 2nd curriculum, and North Korea Chinese language textbook for junior high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which is corresponding to fifth and sixth grade of South Korea, was compa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meaning and the pronunciation after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about 15%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the educational elementary school Chinese character have been chang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the days of exchanging and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right usage of written Chinese character that is a part of Korean language and appropriate communication is required by standardization of the differentiated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저자
  • 金鍾運(雲川初等學校) | Kim, Jon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