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속기간별(1-, 3-, 6-, 12-, 24개월)로 가장 가뭄이 심한 해의 5월 건조현상을 지역별로 분석하기 위해 1973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53개 기후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월별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FAO Penman-Monteith 기준잠재증발산량(RET)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강수량(P)에 대한 RET의 비(P/RET)를 이용하여 건조지수(aridity index)와 P/RET의 변동지수(variation index, VI)를 산정하고, 표준강수지수(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지역별 건조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53개 기후관측지점을 20개 연구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건조지수의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 Spearman rank test 그리고 Sen's slope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각 지속기간별로 P/RET의 변동지수(VI)와 표준강수지수사이에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서 지속기간이 단기화 될수록 5월 기후가 더욱 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이나 6개월 지속기간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유의하거나 혹은 유의하지 않은 수준에서 건조지수의 감소추세를 보였다. 반면에 12개월 및 24개월 지속기간의 경우 유의한 건조지수의 감소추세를 보이는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ay aridity condition of each region for the year of the worst drought on record in each duration(1-, 3-, 6-, 12-, 24 months), monthly climate data recorded from 1973 to 2006 at 53 climat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were used to estimate the FAO Penman-Monteith referenc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RET). Monthly precipitation and RET were used to estimate P/RET as aridity index and variation index(VI) of P/RET, and these indexes are compared with SPI(Standard Precipitation Index). Fifty three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grouped into 20 regions, so that May aridity conditions of 20 regions were studied. Furthermore, regional trend of May aridity index was studied by applying Mann-Kendall trend analysis, Spearman rank test, and Sen's slope estimat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variation index(VI) of P/RET and SPI have close correlation. Throughout the country, as the duration is shorter, May aridity was more severe. In case of 3-month and 6-month duration, most of region show significant or non-significant decreasing trend of aridity index. However, no region show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of aridity index in case of 12-month and 24-month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