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漢文敎育 現場硏究의 現況과 課題 KCI 등재

A current situation and issue on the field research of Chinese character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한자한문교육 현장연구의 현황과 과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2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고는 漢字漢文敎育과 관련된 現場硏究의 現況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課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한문교사모임(이하 ‘전한모’로 약칭함) 홈페이지의 현장연구 자료와 모임에서 발간하는 회지인『漢文敎育』, 그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 선정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 글에서 논하고자 하는 ‘한자한문교육 현장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 교사 또는 중등학교 한문 교사가 자신의 교실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필자가 2006년에 발표한 「실행 연구 활성화를 위한『한문교육』 내용분석-교수․학습 분야를 중심으로」의 후속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旣 發表한 글에서는『한문교육』의 창간호인 1호부터 68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목록을 만든 후, 그 가운데 ‘교수․학습’에 관련된 연구 자료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글에서는 2006년 이후 간행된『한문교육』 69호부터 최근호인 87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한문 교사들이 전한모 홈페이지에 자발적으로 공개한 현장연구 성과를 분석한다. 다만, 선행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분야만을 살펴보았다면, 본고에서는 한자한문교육이라는 포괄적인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에서 수상한 교육자료 현황을 살펴본다.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ⅰ) 현장 수업에 곧바로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한편, 개발된 최신의 교수․학습 방법을 현장의 한문교사들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겠다. 관련 기관이나 학회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ⅱ) 한문 교사들에게 현장연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참여를 독려하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ⅲ) 이 글에 소개된 현장연구 현황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된 수업사례가 발표되고, 이를 다시 피드백하여 이론화한 교수․학습 방법이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ⅳ)『한문교육의 실제』를 잇는『한문교육의 실제』 증보개정판 제작이 필요하다. ⅴ) 한문 교사들이 수업하면서 궁금하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참고하여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는 한문교육학 개론서나 학교 한문문법과 같은 지침서의 발간이 매우 시급한 과제인데, 이를 위한 기초 이론 연구가 속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本文立足于汉字汉文教育的现场实践研究, 旨在揭示其中存在的问题. 为此, 作者以全国汉文教师团队(以下简称为全汉团)主页中上传的现场实践研究资料,期刊《汉文教育》,韩国教员团体总联合会的现场研究比赛的研究报告以及全国教育资料展选定的资料为主要参考资料进行研究.首先, 通过认真研读《汉文教育》从创刊号到最近一期的第86号内容, 撰写大纲和目录. 其次, 仔细观看全汉团主页上上传的现场实践研究资料, 认真研究韩国教员团体总联合会的现场研究比赛的研究报告和全国教育资料展中获奖的教育资料, 并参考相关部门资料室中的资料对目录进行补充和完善. 最后从整理的目录中, 挑选出有研究价值的课题, 并围绕其展开一系列的研究与分析. 通过对教学活动现场问题的研究与分析, 作者提出以下几点建议:第一, 制作《汉文教育的实际》的修订增补本. 第二, 开发多种教学方法, 并充分应用于教学活动中. 第三, 为汉文教师交流教学方法和教学经验搭建交流的平台. 第四, 鼓励相关基础理论研究, 并将研究成果汇总出版, 为教师提供教育学以及汉文语法等方面的参考资料.

This study aims to check study on practical situations in where Chinese character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given and to propose tasks according to that. To do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ino-Korean Teachers’ Association(hereinafter briefly referred to as ‘STA’) and its publication ‘Sino-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materials on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of the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and materials selected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First of all, as to ‘Sino-Korean education’,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contents from the first edition No. 1 to the recent edition No. 87. Next,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TA,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reports of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hich won prize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cataloging was made examining materials at the reference room of relevant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e lists first summarized, studies whose analyses are worthwhile were se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aterials, analysis was mad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asks drawn are as follows. ⅰ)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revised and enlarged which connects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ⅱ) Development of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reflection of their educational processes. ⅲ) It is necessary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s to b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ⅳ) It is desirable for basic studies for publishing guideline books such as ‘Introductory of the Sino-Korean education’, ‘School grammar of the Chinese Classics’.

목차
Ⅰ. 序論
Ⅱ. 先行 硏究 成果 檢討
Ⅲ. 漢字漢文敎育 現場硏究 現況 分析
Ⅳ. 結論
저자
  • 白光鎬(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 Baek kwa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