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 자음동화 교육 연구 - 중국어,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Korean Consonantal Assimilation - Focused on the Chinese Learners and Japanese Learner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7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교수자는 학습자 모국어의 음운현상들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 사이의 간섭 현상을 파악해서 올바르게 교육 할수 있다. 교수자가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교수하지 않는다고 해도 음운현상을 교수하거나 오류를 고쳐줄 때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근간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낱 음절의 발음보다는 음운현상에 대해 관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에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예측해보고 학습자들의 실제 한국어 발음을 녹음해서 한국어 음운현상의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현상 사용에 대한 실태를 점검 할 것이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선택함은 세 언어에 비슷한 음운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현재 가장 많은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고 있기에 필요성이나 유용성 입장에서도 그 이유를 말할 수 있으리라 본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pronunciation plays a vital role in the contex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nouncing in the wrong way from the beginning can be a difficult habit to correct even after progressing into the advanced level of the education. So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pronunciation errors from students and correcting them cannot be stressed out enough. Recognizing the exact differentiation of vowel and consonant also plays a key role in pronunciation. To be able to achieve this ability, one should learn how phonological process works in the language. Day-to-day human languages are spoken with not as individual pronunciation but with continuation of sound. Having said this, there are number of restrictions in this continuity. phonological process is a crucial skill required to overcome these restrictions and without this ability,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normally with others. These phonological proces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languages. This will result in language interference between students native language and their second language they aim to learn. To avoid these discrepancies and confusions,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both languages’ phonological process is essential. In this context, the objective was to research and plan a scheme in how to educate consonantal assimilation of Korean.

목차
1. 머리말
2. 한․중․일 자음동화 비교
3. 오류 실험과 분석
4. 마무리
저자
  • 김용렬(동아대) | Kim Yong-Ryeol
  • 여정화(부경대) | Yeo Jung-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