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와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歲寒圖)>의 비교 연구

A study of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s Sehan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7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Kangnam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에 그려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가 당대와 현대를 가로지르면서 시대적, 문화적 차이를 통해 수용된 다층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정희는 조선후기의 뛰어나 서화가(書畵家)이자 금석학자(金石學者)이자 실학자(實學者)이다. 그는 1844년, 그의 나이 58세 때에 제주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때 김정희를 기억해준 유일한 제자, 역관 ‘李尙迪’을 기리는 마음으로 <세한도>를 그렸다. 이 <세한도>는 네 종류의 글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김정희가 이상적을 기리기 위한 발문이다. 두 번째는 이상적이 김정희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이유로 청나라 명사 16인에게 보여주고 받은 찬문찬시이다. 세 번째는 광복 후 김석준, 오세창, 이시영이 더한 찬문찬시이다. 네 번째는 황지우를 비롯한 여러 시인이 남긴 현대시이다. 롤랑 바르트가 제기한 것처럼, 하나의 기호는 2차 의미체계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낸다. 그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오늘날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에 영향을 미쳤다.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를 통해 자신에게 의리를 지킨 이상적을 기억하며 19세기의 ‘의’를 밝혔다면, 황지우는 추사 <세한도>를 20세기에 불러내어 현 시대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거대담론이 사라진 것처럼 인식된 현실세계에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다시금 불러 세워, 아직은 사회적 문제, 거대담론의 문제로 행동해야할 때임을 드러냈던 것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당대 개별적 작품성뿐만 아니라 시대를 넘나드는 시대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드러낸 현대 시인이 바로 황지우이다.

A highway stretches out between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Thus the fact that only readers can spread the highway determines whether the highway is comprised of only one road or many forks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reader's interes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scholars and artists of the century who first walked the same path then went on their separate ways. Most of all, I will focus on four aspects of the path they walked together.Fir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regarded as pioneers who led a change in a transitional period. Hwang Ji-u witnessed the miserable lives of his father and uncle who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and Korean War. Therefore he has developed his revolutionary esprit from the Japanese Ruling, even though he was born in 1952. Secondly, both Kim Jeong-hui and Hwang Ji-u were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Third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wish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La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led religious lives after they returned from exile. As Hegel said that all beautiful arts flow into religion or philosophy, Kim was converted to Buddhism in his later years, even though he was a privileged elite in the Confucian society. He became a monk after receiving Buddhist code of conduct in Bong-eun Temple. Hwang also revealed that he is interested in oriental spirit, buddhism, and Taoism.In shor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walked the same path. This junction not only resulted in similarities between Kim's Sehando and Hwang's Midwinter Picture Seen Through Glass, but also created contrast. In order to look into their differences.

목차
1. 서론
2. 추사 김정희의 사상적 배경
3. 추사 김정희와 황지우와의 비교분석
4. 19세기 <세한도>와 20세기 <유리끼운 세한도>의 접점
1) 추사 김정희 <세한도>의 실체와 찬문찬시(讚文讚詩)
2)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를 통한 <세한도>의 다층성
5. 결론
저자
  • 여지선(건국대학교[충주]) | Yeo Jl-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