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몇 가지 완효성비료가 채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Vegetab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8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실험은 몇 가지 완효성 비료가 채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른 화분 침출수의 EC를 정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EC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아그로블렌과 토비 3g이상의 침출수의 EC는 3.50 ds·m-1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엔다이브는 엽장의 경우 대조구 16.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수도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 아그로블렌과 토비 3g이상 시비구에서는 식물이 고사하였다. 상추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대조구의 11.7cm, 4.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증가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 시비구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근장의 경우 아그로블렌 3g과 토비 1g 시비구를 제외한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도 길게 나타났다. 머스타드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오스모코트 1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아그로블렌 1g이 21.4cm, 10.6cm로 가장 길었다. 엽수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증가 하였으나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고 아그로블렌 1g 시비구가 8.6장으로 가장 많았다. 방울토마토는 초장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의 12.9cm보다 증가하였으며 오스모코트 5g의 시비구가 47.9cm로 가장 컸으나 오스모코트 1g, 마감프K 1g, 5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개화시기의 경우 시비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과실의 경우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열리지 않았으며 시비구의 경우 마감프K 모든 시비구,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이 다른 시비구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많이 열렸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엽채류 및 과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엽수, 과실수 그리고 시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그로블렌 1g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vegetables. Leachate EC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fertilizers. As a result, leachate EC was higher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fertilizer, it was lower with the lapse of time. EC was higher than 3.5 ds·m-1 above Agroblen and Tobi 3g. Leaf length of endive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16.8cm of control. Leaf number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ontrol. Plants were withered above Agroblen and Tobi 3g fertilizations. Leaf length and width of lettuce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ontrol. Most of all, Agroblen 1g and Osmocote 3~5g treatments were the most increased more than others. Root length in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 except for Agroblen 3g and Tobi 1g treatments. Leaf length and width of mustard were similar to all fertilizations, except for Osmocote 1g. But, Agroblen 1g was the most long and big leaf. Leaf number of mustard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 Agroblen 1g had the most leaf number of 8.6. Plant height of tomamto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12.9cm of control. Flowering in all fertilizations were very similar. No fertilizing group showed no fruit. But fertilizing were in fruit. And MagampK 1~5g, Agroblen 1g and Osmocote 3~5g fertilizations were many in fruits more than others. As a result, agroblen 1g was very good fertilizer for the vegetables considering in leaf number, fruit number and fertilization amount.

저자
  • 김동한(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Dong-Han Kim
  • 차무상(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Mu-Sang Cha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eung-Gu Son
  • 김홍열(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Hong-Yul Kim
  • 임기병(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Ki-Byung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