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Recipient of Educational Welf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8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 취약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시 P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 중 5학년,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13년 4월 2일 부터 2013년 6월 11일 까지 주 1회씩 14시 50분에서 15시 50분까지 총 10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은 난이도와 대상자들의 유대감 형성 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과정의 3단계로 분류하여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자아개념은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 자아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36점에서 실시 후 평균 29.09점으로, 학업적 자아는 실시 전 30.64점에서 실시 후 31.91점으로, 사회적 자아는 29.09점에서 32.27점으로, 정서적 자아는 22.82점에서 24.27점으로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항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취동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학업적 성취동기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5.55점에서 실시 후 평균 49.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사회적 성취동기도 실시 전 43.45점에서 실시 후 47.36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면서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한 원예활동은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on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educationally vulnerable children by carrying out the program with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1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among other children from P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ho were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as from April 2 to June 11, in which it was carried out from 14:50 to 15:50 once a week in a total of 10 sessions.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ed of three steps including introduction, engagement, and finishing for leading the subject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difficulty degrees and consolidation among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ubjects’self-concepts were evaluate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4 items including general ego, academic ego, social ego, and emotional ego. With the score of general ego from 27.36 before the activities to 29.09, that of academic ego from 30.64 to 31.91, and that of social ego from 29.09 to 32.27, we can tell that all the sub-items of self-concep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chievement motivations in the subjects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gainst items including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motivations.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is evidenced by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5.55 before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49.55 after it, and the social on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3.45 to 47.3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far, we can tell that the systematic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take job difficulty degrees into account and lead children to grow and take care of plant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저자
  • 최혜정(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Hye-Jung Choi
  • 윤숙영(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Suk-Young Yun Corresponding author
  • 최병진(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Byung-Ji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