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 실과교육을 통한 실천지향형 태도 기르기 KCI 등재

Development practice-oriented attitude through the KAP home economics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8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은 노작활동 중심의 실과 교육에 적합한 교육이론이다. 본 연구는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통해 일과 노작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길러주고 실천지향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노작활동이 주를 이루는 실과 교육은 학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먼저 알아야 하고(Knowledge),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다음(Attitude), 행동으로 옮겨 직접 실천해 보는(Practice) 과정을 거쳐야 학습의 성과가 높아진다.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위해 5학년 실과 학습내용을 K(Knowledge)영역, A(Attitude)영역, P(Practice) 영역으로 나누어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KAP 실과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시간 단위의 블록타임제 운영, 실과실 정비, 학습준비물 예산 확보 등의 선행 작업을 거쳐 총 68차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KAP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실습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필요한 지식의 습득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또한 노작활동에 대한 참여율, 작업수행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성별에 따른 직업관 등에서 모두 바람직한 태도 변화를 보였다.

KAP is the appropriate theory for the laborious work-centered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udents' desirable values about laborious work and to make them get a practice- oriented attitude.To develop students' achievement, first they have to acquire the knowledge about task and the course of problem-solving, second to get the positive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 based on the knowledge, third to practice it. I made a yearly lesson plan to devide the 5th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ree domai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 Also,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KAP home economics education, I managed 68 periods program which is consisted of 2-periods block time system, improving home economics classroom, and securing learning supplies budget. Through this KAP, students realized that they need exact knowledge to perform laborious work successfully. and they try to get necessary knowledge. Also they develop laborious perform ability and participated in laborious work positively. And they showed desirable attitude change about laborious work and job distinction by gender.

저자
  • 김철(서울연촌초등학교 교사) | Chu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