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업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유효성 간 관계에 있어서 경영자에 대한 신뢰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KCI 등재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Manager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2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소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그리고 이들 간 관계에 있어서 경영자에 대한 신뢰와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가설검정을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38개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분석결과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은 낮아지는 반면,이직의도는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 간 관계에 있어서 경영자에 대한 신뢰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 있어서는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조절변수의 조직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고용이 불안한 상황에서도 그대로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불안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It also studied an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employees’ trust in manager and their self-efficacy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targeting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in the Daegu and Gyeongsangbuk-do region was conducted and 238 responses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a high level of perceived job insecurity tends to decrease job satisfaction, a variabl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it increase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employees' trust in manager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job insecurity-satisfaction relationship, but employees' self-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 However, the opposite results were found when it came to the job insecurity-turnover intent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derating variables were reflected in the results even under such circumstances as job insecurity. According to the res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mployees' job insecurity i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which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create a detailed plan for reducing insecurity and actively implement i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
 2.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3. 경영자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
 4.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Ⅲ. 실증연구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 자료의 특성, 신뢰성 및 타당성
 3. 가설의 검증
Ⅳ. 결론: 연구결과의 요약, 의의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백혜옥(계명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Baek, Hye Ok
  • 신진교(계명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 Shin, Jin Ky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