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관디자인코드를 활용한 장복리 경관정비계획 KCI 등재

Maintenance Plan Using Landscape Design Code for Jangbok-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By leveraging on landscaping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that is displayed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n a rural village, this plan i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arget area is a Jangbok 1-ri, Daesul-myon, Yesan-gun, Chungcheongnam-do, region intrinsic decided to formulate a rural landscape development plan for managing the landscape of the region-specifi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Analyze the public awareness of location for planning, humanities environment,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it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other area landscaping plan and concept of landscape design.The plan for landscaping, development of Dalcheon embankment promenade for the experience route structure and visit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rail maintenanc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village dep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of and fence and we plan to, Developed a plan, such as field development of mum experience hall, of Dalcheon, and mum complex and rural income growth of the village, where formability and awareness of the town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space development plan and approach road for.

저자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uh, Joo Hwan
  • 이경진(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Lee, Gyeong Jin
  • 최현상(형설조경경관디자인) | Choi, Hyeon Sang Corresponding Author
  • 양희승(형설조경경관디자인) | Yang, Hee 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