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4,000원
        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시면소재지는 예당저수지 연계 생태관광거점지로서 뿐만 아니라 황새마을(복원센터) 개장에 의한 생태관광객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기존 광시한우타운과 황새생태관광 및 광시 농업농촌테마공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광시한우타운의 이미지 제고,시가지 보행환경 및 가로경관 향상을 위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의 기본방향은 중심가로 활성화 및 편의시설확충을 통한 녹색농촌관광 거점공간 조성, 광시한우 이미지 고양 및 황새마을 연계강화를 통한 지역이미지 특화공간조성 및 친환경 수변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은 광시면소재지의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 생태관광과의 연계를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황새와 공존하는 쾌적한 하천경관형성, 생태계보전을 위한 정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광시면소재지가예산군 생태관광거점공간으로서의 기능 담당에 기여할 것이다.
        4,000원
        3.
        200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search was an establishment of the important green spaces in Jeonju and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The relationship which leads to the green spaces and traditional cultual district needs the connetion of green corridor. The ecological view is used as the space for the passeuggest a connection on the base of the important green network between the green spaces and buildings as well as streets. Consequently, a creation plans of green spaces are demanded green corridor for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in the tradional cultural district in Jeonju.
        4,800원
        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 국립공원의 경관관리를 위한 법제적 내용특성 중 공원시설물을 위주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적 기준인 일본의 자연공원법규의 내용을 경관관리 측면에서 정리한 후. 아소. 쿠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계획서의 내용을 정리하여 전국적 기준과 지역적 관리기준의 차이를 파악하면서 국내범규와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자연공원법규 중 우리 나라와 차이가 있는 공용제한의 내용과 공원계획의 내용 및 공원시설물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공원 내 각종행위에 관한 심사기준이 법제화되어 있음이 조사되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 있어서 법적인 근거는 없으나 집단시설지구에서의 이용허가 및 규제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국립공원관리소장이 작성하는 관리계획은 보호, 유지할 지역의 경관자원을 명확히 하면서 각종 시설물의 건설행위에 대해 그 규모, 위치, 색채, 디자인 관련 사항 등에 관하여 관리지침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4,900원
        5.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 construction of national infrastructure, variation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urbanization of rural life-style, and other things have influenced on rural area. Therefore, its landscapes have been changed rapidly. As a result of it, rural landscape should be controlled with amenity and totality. That is a rural amenity control plann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characters of rural settlement area, the directions of landscape control planning as an environmental planning, the structure of rural landscape, the process of rural landscape control planning, and its frameworks. Main viewpoints of landscape control planning in rural settlement are as follows; the using of regional resources, the harmony of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harmony of natural ecology, locating of facilities, the development of new landscape material, maintenance of sequencing, symbolizing, unificating, and opening, the using of natural/regional materials, the using of waterfront, the making of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