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행공간 환경개선이 야간 보행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Improving Road Space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야간 가로공간의 보행자 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야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소재 가로수가 잘 조성된 주거지 주변의 대로를 중심으로 야간 보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하여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요인으로 도로정비 요인과 조명환경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심리적 요인으로 범죄위협 요인과 야간 보행안전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요인이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도로정비 요인은 야간 보행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인 범죄위협 요인과 물리적 요인인 조명환경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범죄예방환경설계의 방향과 일치하며 조명환경 요인을 개선함에 따라 범죄위협 요인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야간 보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 공간의 설계 시 조명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관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설계 대안 제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uggests ways for improving walkability at night, understan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walking satisfaction on road space. For doing this, we conduct a survey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for walkability satisfaction focussed on the boulevard near residential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 road maintenance factor and luminous environment factor are extracted as physical factors and crime threat factor and walking safety factor are extracted as psychological factor those are affecting walking satisfaction. To analyze influence of extracted factors to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physical road maintenance factor has no influence to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and crime threat as psychological factor and luminous environment as physical factor have a lot of influence for walking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seeks for improving prevention of crime through expending luminous environment is introduced for ultimately improving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This result will promote landscape simulations for diverse lighting environment analysis for walking space and will provide a background for improving lighting environment for road space design.

저자
  • 김호인(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 Kim, Ho In
  • 이석준(상지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Lee, Seok Jun
  • 이종성(상지대학교 친환경식물학부) | Lee, Jong S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