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cientific for enhancing creativity has in the child's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남: 16명, 여:14명)으로서 실험집단 15명(남: 8명, 여:7명), 통제집단 15명(남: 8명, 여: 7명)이었다.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6년 3개월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년 9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창의성 검사」와「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창의성 검사는 Torrance(1990)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 Form A, B'를 김영채(2004)가 편역한 <한국판 TTCT(도형)검사> A형과 B형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각 각 사용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는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 척도를 기초로 이경민(2000)이 제작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서윤희(200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는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점수는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following research aims in analyzing the effect of scientific activity for creativity enhancement has in the child’s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ing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0 children (16 males, 14 females) attending H kindergarten in C city of Kyung Sam Nam province, with experiment group of 15 children (8 males, 7 females), and control group of 15 children (8 males, 7 females). The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ranged between 5 years and 4 months old to 6 years and 3 months old. The average age was 5 years and 9 months ol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carry out the 「creativity test」and the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For the creativity test,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 Form A, B’ a test Torrance (1990) developed, then translated by Young Chae Kim(2004) 「Korean TTCT(figure)Test」 was utilized, form A and B as test before and after respectively. For the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Youn Hee Suh(2003) from the original developed by Kyung Min Lee(2000) with the foundations from scientific inquiry ability evaluation by Martin(1997) was utili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ly, the scientific activity for enhancement in creativity executed by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a higher creativ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there was a mindful difference. Analyzing creativity by components show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 delicacy , resistance to impatient end and in all aspect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mindful difference.
Secondly, the scientific activity for enhancement in creativity executed by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a higher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there was a mindful difference. Analyzing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by components show predicting , observing, categorizing, measuring, debating, and in all aspect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mindful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