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동 두우산(頭牛山) 소재 봉수 및 추정 건물지의 특징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ignal-fires at M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1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본고는 하동 두우산에 소재하는 봉수에 대한 소개글이다. 하동군 금성면 두우산 정상부에서 확인된 봉수 3기는 남-북 능선을 따라 위치하며, 추정 건물지 1기도 함께 확인되었다. 특이한 것은 봉수의 구조ㆍ형태가 각각 다르다. 이들 중 연대(煙臺)형 봉수를 추정 계화산봉수(1호 봉수), 방호벽 내부가 빈 평면 원형의 봉수를 두우산봉수1(2호 봉수), 두우산봉수2(봉수 3호)라 명명하였다. 1호 봉수는 방호벽이 확인되지 않고 연대만 확인된다. 연대의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다. 1호 봉수 주변에서는 채석지와 음각으로 새겨진 劍모양이 확인된다. 이 검모양은 당시 봉수군이 휴대하고 다녔던 고리칼(還刀)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두우산 정상부 쪽에서 1호 봉수와 관련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추정 건물지 담장석축 주변으로 우물로 추정되는 석축 2기와 말굽형 석축, 채전지로 추정되는 석축 3기가 확인된다. 2호 봉수의 평면형태는 중앙이 비어있는 도넛형태로 축조된 것이 특징적이다. 봉수대는 방호벽, 방호벽 내 배수시설로 추정되는 호와 출입시설, 석곽형태로 조성된 추정 창고시설 등이 확인된다. 봉수 3호는 1호 봉수와 2호에 비해 훼손이 심해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지만, 연대의 북동쪽과 남서쪽에서 가공한 석재의 면을 맞추어 놓은 석렬이 확인되어 관련 시설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봉수의 조사사례가 미흡했던 하동지역 봉수의 형태, 규모, 구조등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향후 대상 지역 봉수의 정밀한 조사와 기능적 접근을 통해 봉수의 통시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fires at Mt. Duwoo in Hadong. They are located along the North - South Ridge on the summit of Mt. Duwoo in Geumsung-myeon, Hadong-gun, where three signal-fires and a building site were excavated. These three signals have each different forms and structures. The first signal fire was named Mt.Gaehwa-signal-fire which has a double signal fire stand. The second signal fire was named Mt.Duwoo-signal-fire (Ⅰ) and the third signal fire was named Mt.Duwoo-signal-fire (Ⅱ). They have the site-plan of circle inside their protective walls. In the site of the first signal fire, protective walls were not observed and a signal fire stand was only found. The site plan of the signal fire stand is oval. Engraved swords and quarry-sites were observed around the site of the first signal fire. The swords are considered as sabers that was used in the past by signal fire soldier. A building site that was connected with the first signal fire was excavated on the summit of Mt. Duwoo. Two stone walls which were assumed to belong to a well, a horseshoe-shaped stone wall and three stone walls which were assumed to belong to quarry-sites were observed near the building site. The site plan of the second signal fire was designed into donut-shaped form as a central characteristic. Protective walls, drainage facilities, doorways and stone-tomb-shaped storage facilities were observed below or near the signal fire stand. This study was focused to identify size, form, and structure of the signal-fires in Hadong. The longitudinal study hereafter of the signal-fires in Hadong is needed throughout the scrutiny and the functional approach of the target area.

목차
Ⅰ. 머 리 말
Ⅱ. 하동지역 봉수의 관련 문헌 검토
Ⅲ. 하동 두우산 소재 봉수 및 추정건물지의 특징
Ⅳ. 맺음말
저자
  • 박운정((재)우리문화재연구원) | Park, U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