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충주 견학리 토성과 중부지역의 판축 토성

Earthen Fortress in Gyeonhakli, Chungju and Panchuk Earthen Fortresses in the Central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1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이 글은 충주 견학리 토성의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중부지역의 판축 토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견학리 토성은 낮은 구릉지역의 선단부에 축조된 방형에 가까운 형태이다. 이 토성은 비교적 작은 규모로 판축 공법이 적용되었다. 유적의 편년은 두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수습된 대부분의 토기편이 9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이른바 호족이 발생하던 시기에 경영되다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폐기된 토성으로 추정하였다. 이 토성에서는 대체로 30cm를 전후한 척도가 적용되었다고 여겨진다. 그 밖에 9~10세기 경에 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중부지역의 판축 토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판축 토성은 내외에 석축 기단과 4m 내외의 영정주 간격을 가진 특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크게 2가지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먼저 주요 교통로상에 조망이 우수한 곳을 택해 방형 또는 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취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분에는 견학리 토성을 비롯하여 목천토성, 수촌리 토성이 해당한다. 대체로 주변의 높은 산지에서 연결된 구릉이 평지와 맞닿는 말단부에 방형의 형태로 축조되어 주변의 이동을 관측하기에 매우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이들 성곽은 驛站과 관련된 시설로 보이는데, 특히 주위에 역원이 존재하고 있어 고려․조선시대에 역원이 자리하기 이전 역참으로 활용되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볼 수 있다. 반면 사산성과 신금성의 경우에는 초기 읍성의 모습으로 복원해 볼 수 있었다. 이미 신금성의 보고자는 治所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역사적 배경을 통해 통일신라 말기 혹은 고려 초의 縣城으로 비정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점차 포곡식으로 전환하는 판축 토성은 지방통치의 거점으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권위의 상징으로 규모를 갖춘 문지를 조성하고, 방어적인 요소가 고려되면서 점차 대형화한 것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Panchuk earthen fortresses in the central region,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excavating and investigating Earthen Fortress in Gyeonhakli, Chungju. As an earthen fortress close to a square-type built on the fore-end of a low hilly area, Earthen Fortress in Gyeonhakli, Chungju was applied with a small-scaled Panchuk construction method. Since most of the earthenware found there, through two times' excavating investigations, show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round the 9th century, it was assumed as an earthen fortress operated during the period when powerful clans appeared and abandoned after the Goryeo Dynasty. It seems that this earthen fortress was mostly applied with a scale around 30cm long. In the meanwhile, Panchuk earthen fortresses in the central region were examined, which seem to have been built between the 9th and 10th centuries. The characteristics of Panchuk earthen fortresses built during the period can be explained with the interior and exterior stone stylobate and about 4m-long intervals between Yeongjeongju (wooden columns), and it was judged to have approximately two functions. First of all, it was mostly built by using a square-shape or a shape close to square in a place commanding a superior view along a main traffic route. Such a classification includes Mokcheon Earthen Fortress and Suchonli Earthen Fortress in addition to Gyeonhakli Earthen Fortress. They are generally built in a square-shape on the fore-end area where flatland meets a hill 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 high mountainous district, which shows a feature of observing any movements around the place very easily. Those fortresses seem like facilities related to Yeokcham (a traffic and communication system). Especially, since there existed Yeokwon (traffic and communication agency) around each fortres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y were used as Yeokcham (a post town) before Yeokwon was established during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 the other hand, Sasan Castle and Shingeum Castle could be restored into their original figures as Eupsung (town castle) in the early times. The researcher of Shingeum Castle suggested its possibility as Chiso (an administrative agency), so it can be assumed as Hyeonsung (a castle surrounding an administrative area called Hyeon) in the late united Silla Dynasty or in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rough historical backgrounds. Gradually converting into Pogok-method, Panchuk earthen fortresses seem to have functioned as a local-governing stronghold, and while forming large-scaled lineages with authority and being considered more important with their defensive factors, they seem to have become larger and larger.

목차
Ⅰ. 머리말
Ⅱ. 충주 견학리토성의 발굴 성과
Ⅲ. 중부지역의 판축 토성
Ⅳ. 판축 토성의 유형과 성격
Ⅴ. 맺음말
저자
  • 강민식(청주백제유물전시관 학예연구사) | Kang, Min-Sik
  • 윤대식(국립중앙과학관 학예연구사) | Yun, Dae-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