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웃음요법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tress-coping Behavi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향상을 위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중랑구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웃음요법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아동 중 설문조사에 응답이 가능한 12명에 대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사용한 웃음요법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효과가 있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 활용한 웃음요법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기에, 아동을 지도하는 기관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부적응 행동을 보이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의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및 이에 대한 대처기술을 증진시키고 더불어 자존감 향상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at effects laughter therapy has on children’s stress-coping. For doing so, a laughter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19 children from fourth grade to sixth who regularly use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located in Jungnang-gu, Seoul. Among the participants, 12 children who were able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were given a test of stress-cop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si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is arguable that laughter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children’s self-esteem. Second, it is revealed that laughter therapy is efficient in developing their stress-coping behaviors. Such test results indicate that, since laughter therapy is a program that helps in promoting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s, if it is made use of actively by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not only does it pacify the anxiety of children caused by maladaptive behaviors or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ut also it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getting rid of their stresses, improving their stress-coping behavio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및 가설
 Ⅱ. 이론적 배경
  1. 웃음요법의 개념
  2. 스트레스
  3. 웃음요법과 스트레스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스트레스 대처행동 결과
  2. 집단별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상윤(국제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조교수) | Cho, San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