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해주 및 동해북부 항로에 대한 연구 - 고대를 중심으로

Tatar route and East Sea northern part route of East Asia's ocean spa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8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5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동아시아의 역사는 대륙과 한반도와 해양을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필자는 ‘터와 다핵(field & multi core) 이론’과 해륙사관을 주장했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형성된 문명은 북방, 중화(중국), 동방문명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동방문명은 대륙과 한반도 해양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완결구조를 지닌다. 이른바 ‘동아지중해(EastAsian-mediterranean-sea)’이다. 동아지중해는 황해 남해 동중 국해 동해, 그리고 타타르해협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와 문화적으로 종족적으로 연관성을 지닌 연해주 일대, 동해북부와 타타르해협, 오호츠크해, 사할린 등을 포함하여 ‘東海文化圈’으로 설정한바 있다. 동해에는 선사시대부터 다양한 항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첫 번째, 동해의 해안을 남북으로 항해하는 ‘동해연근해 항로’이다. 두 번째, 연해주의 해안에서 타타르해협을 항해하여 일본열도의 홋카이도와 사할린지역으로 도착하는 ‘연해주 항로’이다. 연해주 항로는 북부항로와 남부항로의 2 종류가 있다. 연해주의 북부에서 사할린까지는 불과 2,5km에 불과하다. 연해주 남부에서는 봄·여름에 남서풍을 활용하여 항해가 가능하다. 읍루(물길 말갈 여진) 부여 고구려 북옥저 동옥저 동예 등은 연해주 항로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세 번째, 동해북부를 횡단 또는 사단하여 일본열도에 도착하는 ‘동해북부항로’ 이다. 高句麗 沃沮(남옥저 북옥저 동옥저),東濊, 挹婁, 渤海 그리고 후대에 女眞人들이 사용하였다. 특히 발해사신들이 초기에 주로 사용하였다. 동해북부항로는 동아지중해에서 가장 어려운 항로였으며, 그 항로 가운데에 울릉도와 독도가 존재했다. 앞으로 울릉도와 독도 또는 우산국의 존재와 의미는 동아시아 해양문화 전체 속에서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밖에 ‘동해종단 항로’가 있다.

History is a kind of organism. Time and space has continuity, and culture has strong successional characteristics. The stage of Korean history is not limited to the current Korean Peninsula. It contains Manchuri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ea on three sides. So, the stage of Korean history coordinately connects the entire continent and the sea at the core of the East Asian- mediterranean-sea. This circumstance brought development of oceanic cultures and its use had effects on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In the past, a peninsula-oriented historical view claimed to describe Korean history, but I have interpreted the history with a land and sea-oriented historical view. Our country needs to develop a new point of view towards the way in which we look at our own rich history's maritime geography. The new focus must incorporate a major focus in observing our own relationships within the nation between continents, peninsulasand oceans. The importance of ocean has been increased as called 'the 21st century, the age of the ocean'. In modern times, the East-sea's reality importance is rising, and it is recognized that surroundings of the East-sea had a relative importance on history of East-Asia. The culture of the ease-sea is at the state where excavation and restoration are necessary. The route which is used from East sea with afterwords is same. The route sta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uman River or near Vladivostok in Russia and moved diagonally across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then set out an ocean voyage to Nigata (新潟), Notohanto (能登半島) and Tsuruga (角鹿) in the middle of Honshu. Also the different route was Tatar-strait route. The ships star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Primorski Province and landed in Sakhalin or Hokkaido (北海道) across the Tatar Strait. The overall route through the East Sea was dangerous for sailing, and considerable sacrifice was necessary. There were Ulung-island and Dokdo-island inside the rout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역사공간의 이해 - ‘터와 多核(field & multi core) 이론’을 중심으로
Ⅲ. 동해북부와 연해주의 해양환경 이해
Ⅳ. 동해북부 항로-고대 역사상과 연관하여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명철(동국대학교 교수) | Youn, Myung-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