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부고속철도 교량의 현장재하시험 방법 개선

The Modification of Field Load Test for Gyeongbu High-speed Railroad Brid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8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Magazine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철도교량의 공용내하력을 산정하기 위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함에 있어 철도 특성상 유지보수 및 각종 검측이 야간이 발생되어 최소 1개월 전에 시험일정 통보하여야 하며 일단 결정된 재하시험일정은 변경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험 당일 기후 악조건(장마 등)시에는 계측데이터에 예상치 않은 오차가 포함될 수밖에 없으며 1일 시험시간이 3시간 내에 제한되어 시험 중 계측 게이지에 문제 발생 시 대처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속철도는 일반철도에 비해 상기의 현장재하시험 조건이 더욱 더 까다로운 상태이다. 또한 주기적인 정밀안전진단시만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밀안전진단 주기에만 과학적 유지관리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기능저하, 보강 확인 등의 평상시 과학적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시운행열차의 유지관리 기준값이 없으므로 소요경비 및 시간이 과다하게 필요한 특정계획(일정통보, 열차수배)에 의한 재하시험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속철도 교량은 도로교 혹은 일반철도에 비해 거의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정해진 레일을 주행하는 조건이므로 하중의 작용조건이 명확하다. 이러한 이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하여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서에 제시된 재하시험열차를 이용한 표준 현장재하시험 방법보다 상시운행열차을 이용한 개선된 현장재하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기존에 실시하였던 재하시험열차에 의한 계측결과와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계측 결과를 분석하여 상시운행열차에 의한 현장재하시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목차
1. 개 요
 2. 현장 재하시험의 목적
 3. 현장재하시험 방법 및 활용
  3.1 현장재하시험방법의 종류
  3.2 현장재하시험 결과 활용
  3.3 응답비 산정을 위한 실측값 획득 방법
 4. 표준 현장재하시험 방법의 대안 방법
  4.1 개 요
  4.2 대안 방법에 대한 신뢰성 검증 조건
  4.3 재하시험열차와 상시 열차의 축중량 영향 여부
  4.4 정적응답비 산정을 위한 정적처짐의 신뢰성
  4.5 동적응답비 산정을 위한 충격계수의 신뢰성
 5. 결 론
저자
  • 이채규((주)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대표이사) | Lee, Chae Gue
  • 정시욱((주)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이사) | Jung, Si Youk
  • 김대호((주)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이사) | Kim, Dae Ho
  • 남진우(한국철도공사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 소장) | Nam, Jin Woo
  • 황규산(한국철도공사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 대리) | Hwang, Kyu 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