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s for the Life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9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노인의 인간다운 삶, 만족스러운 노후 생활 등이 향후 사회적인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년 인구의 빠른 증가 속도는 노인들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으로 시급한 대책 마련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복지정책이 수립되고 있고, 노인관련시설 또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노인복지시설들은 재정자립도가 낮고 복지프로그램 역시 매우 단편적이기 때문에 이용대상인 노인들의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많지만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원하는 사회활동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With the aging population, the human living and satisfactory declining years of the aged is emerging as one of important social issues. In particular,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demanding urgent national and social measures for them. For this reason, various senior welfare policies are being devised, and the number of senior faciliti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However, due to the low fiscal self-reliance ratio of local governments and limited welfare programs, some say that senior facilities are not playing an effective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 aged. Whil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aged and their standard of living,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grams provided by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y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this wa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eek measur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rough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의 생활만족도
  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의 형태
  4.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5.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
 Ⅲ. 연구 방법
  1. 조사목적
  2. 조사대상의 선정
  3. 설문지 구성 및 조사도구
  4.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 노인의 일반사항 및 생활상태
  2. 노인의 경제활동 및 자원봉사활동
  3. 신체적 영역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4. 지적 영역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5. 정의적 영역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6. 사회적 영역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상윤(국제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Cho, Sang 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