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와 심리변화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ffect in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9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통증(pain)은 오늘날 기능장애(impairment)나 능력장애(disability)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비용 또한 사회에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는데, 실제로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으로 인해 노인의료비가 급증하여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의료비의 해결과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 및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고 통증과 심신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Melzack과 Wall의 통증이론을 토대로 임상에서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증에 있어 연령은 40~50대(52.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에 영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증의 원인은 교통사고(35.4%)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기간은 3개월 이상 만성 통증(69.2%)이 많았으며, 통증의 형태는 둔한 통증(dull, 41.5%)이 높아 근육이상으로 인한 통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의 상관관계는 현재의 통증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0.493).Melzack과 Wall의 Gate-control theory는 지금도 가장 포괄적이고, 통증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모든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여러 형태의 통증들은 다양한 정도와 특징을 가진 감정적 고통, 일차적으로 공포, 불안, 분노 및 우울을 동반한다. 그러나 아직은 통증 정동(pain affect)보다는 통증 지각(pain sensation)에 더 관심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증은 심신상관의학(psychosomatic medicine) 차원에서 동통지각과 조절에 중요한 인지적 개입(cognitive interventions)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환자의 지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논문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심신상관관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 only the pain is being the important consideration today in curing impairment or disability, but also the treatment cost is also giving hugh financial burden to society. Actually due to geriatric disease, the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rapidly increased, thereby having tremendous influence upon financ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order to solve this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care-giving burden for the elderly family,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came to be implemented from July in 2008.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affect in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mind & bod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argeting patients who actually appeal for pain in clinic based on the pain theory in Melzack and Wall who emphasiz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pain was the largest in their 40~50s(52.3%). The stress affect depending on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nd, the effect on psychological change depending on age could be kn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a cause for pain was the largest in traffic accident(35.4%). The period of pain was the largest in chronic pain(69.2%)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form in pain was high in dull pain(41.5%),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known that the pain due to muscular disorder was larg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due to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it could be known to be stressed by the current pain, and could be 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hange due to pain(r=0.493).The gate-control theory in Melzack and Wall is the most comprehensive even now, and is related to all theories in understanding cognitive aspect in pain. Pains in several forms are accompanied by emotional pain, primary horror,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which have diverse affec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ain sensation is paid more attention yet than to the pain affect. Through this study, the pain is required the patients’ perception of being able to control pain effectively, which is the important cognitive interventions to pain sensation and control in the dimens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ain and mind & body is needed targeting the elderly more than 65 years old, as a follow-up thes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통증기전의 여러 학설
  2. 통증의 전달경로
  3. 통증의 기간에 따른 분류
  4. 스트레스와 통증과의 관계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Ⅳ. 결과
  1.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2. 통증에 관한 전반적 특징
  3. 통증과 스트레스 관계
  4. 통증과 심리적 변화
  5.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신상수(세계사이버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 Shin, Sa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