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ple Size Standardization and Comparative Quantification in Paleoethnobotany: Application to Seeds Recovered from the Bronze-period Sites in the Nam River Basin
식물고고학에 적용되는 토양시료 크기의 표준화 및 종자 유체 밀도의 상대 비교법: 남강댐 수몰지구 청동기시대 유적 출토종자유체를 중심으로
본고는 각 표본집단(토양시료)이 모집단에 대하여 동일한 대표성을 갖게 산출하고 식물유체의 수량 비교시 통계적 유의성을 갖춘 계측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상대오차와 확률에 기초하여 여러 유적에서 채취된 토양시료 표본의 크기를 표준화하는 통계법을 제시하였다. 표본 크기의 표준화는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식물유체 간 수량의 차이가 단지 표본의 크기 차이에서 비롯됨이 아니라 문화적 원인 즉 식물 자원 이용상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통계적 대표성과 토양시료 채취는 기본적으로 군집표집의 일환이므로 토양시료의 수를 표본의 크기로 각 토양시료에서 추출된 종자의 밀도를 변수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표본 크기 표준화 방법을 남강댐 수몰지구 어은 및 옥방 유적 청동기시대 유구에서 출토된 식물유체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표본(예, 유적, 유구)의 변수(종자 밀도)를 비교할 때 상이한 보존율과 복원율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본간 종별 중복비율을 모식도를 통해 제시하였다.
One of the main questions in paleoethnobotany is how large the sample size should be andthen how to achieve the compatibility among samples with different sizes. A sample inpaleoetnobtany is in fact a feature, a three-dimensional context, but what is wanted is acertain quantity of plant remains from it. That is paleoethnobotanical sampling is in the realmof cluster sampling, not a random sampling of seeds themselves. The relation between thetwo (i.e, seed density) is only apparent after the sample has been taken and the analysis hasbeen done. The difficulty herein is to predict the sample size that will be needed to yield therequired degree of precision. This paper aims to devise a formula to estimate sample sizeswith the same amount of relative error at a fixed confidence level across all samples. Theformula is applied to estimating the required sample sizes for the Early and Middle Bronze-period features in the Nam River valley, South Korea. The next step is to design thequantitative methods which are less sensitive to differences in preservation and retrieval ratesamong samples. The suggested ratios of the ratios between seed taxa across the samplesreflect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original (target) populations, that is the buriedassemb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