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전기 호형토기의 변화양상 KCI 등재

The aspect of changing in jar around central region of Korea during the early Bronze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호형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대표적인 토기로 그 생김새와 체적이 다른 토기에 비해 특징적이어서 저장의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된다. 호형토기는 출토량이 많지 않고 완형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드물어 그동안 연구의 주체가 되기보다는 보조 자료로써 활용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호형토기를 주체로 하여 속성을 분석하고 형식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형식과 공반유물을 통하여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단계에 따른 변화상을 용량의 변화상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호형토기의 변화가 가지고 있는 사회·경제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호형토기를 각 크기에 따라 변화양상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대·소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크기에 따라 속성을 분석하고 형식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형에서는 동체형태에 따른 변화상을 확인하였고, 소형에서는 구연형태에서의 변화상이 시간적 흐름에 더 민감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용량분석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소형토기는 단기저장용기로, 대형토기는 장기저장용기로서의 기능을 지녔다고 상정된다. 청동기시대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가 분화되고 핵가족화 되는 과정에서 장기저장용기는 동체형태의 변화를 통해 용량의 변화를 보이며, 단기저장용기는 구연형태의 변화를 통해 기능적 변화의 모습을 보인다. 즉, 호형토기 형태의 변화는 용량의 변화로 연결되며, 이러한 용량의 변화는 곧 사회·경제적 변화를 보여준다.

Jar is a typical pottery which is excavated easily from the site of early period Bronze Age. Ithas very distinct features in terms of its form and capacity compared to other potteries.Therefore it is assumed that jar might be used for storing food. However the quantity of findsis not much and it is rare to find them in complete and undamaged shape. Thus, the Jar hasbeen used as a supportive aspect rather than being a major subject on research. This paperfocused on the jar which has been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 of early Bronze Age as amain subject and it will be examined and classified by its attribute and form. In order to havemore accurate study, periodical stages are established by forms of jars. Also this establishmentis deeply related to the relics which are found along with the jars. Based on the alteration ofboth jar and relic by each stage which is including quantity changes, this dissertation will tryto define the social and economical significance that this jar has. Since the changes of jar are supposed to have different aspects by its sizes, firstly, the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size. In consequence, the alterations of body shape have beenseen mainly in larger size of jars and the changes of mouth part have been recognized mostlyin smaller size of jars. Combining such results with the quantity analysis, it is assumed that a smaller jar was usedfor the short term storing and a bigger jar was used for the long term storing. In Bronze age,as time goes on, the social aspects of every day life also progressed. As society changed sorapidly, the long term storing pottery increased its quantity by altering the body part. And theshort term one shows its functional variety by changing the mouth part. In other word, theformation changes of the jar leads into the quantity changes. And such alterations mean thesocial and economical transformation of the perio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대상유적 검토
  1. 유적분포양상
  2. 각 지역별 유적검토
 Ⅲ. 속성분석과 형식분류
  1. 속성분석
  2. 형식분류
 Ⅴ. 호형토기의 단계별 변화양상
  1. 단계설정
  2. 호형토기의 용량변화
  3. 호형토기 변화의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박상윤(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구원) | Sang-You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