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方形住居址의 展開 KCI 등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방형주거지의 전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호서지역은 한국 고고학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발생지로 고고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현재까지 송국리형주거지와 전기의 대형 취락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에 반해 후기의 송국리 형주거지가 아닌 노지가 설치되어 있는 방형주거지는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많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방형주거지가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함께 호서지역의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고를 작성하였다. 우선 방형주거지의 분포지역을 서해안지역, 아산만지역, 금강 상류지역, 금강 중·하류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주거지의 분류와 출토유물, 절대연대 등을 토대로 3개의 단계를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방형주거지는 전기 후반에 출현하여 후기에 지속적으로 분포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방형주거지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송국리유형과의 관계를 통해 호서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방형주거지와 송국리형주거지의 중복관계를 통해 병존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륙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전개양상, 주거 자체에 있어서 원형과 방형이라는 근본적인 형태적 차이를 기반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문화흐름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획일적인 문화상 전개가 아닌 송국리유형과 방형주거지 간의 교류를 통한 문화적 병존과 전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for the suspected origin of Songgukri type, many archaeological projects have focused onthe central part south Korea. As opposed to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works were dedicat-ed to the studies on large settlements in the Early Bronze Age (hereafter EBA) and Songgukritype houses, the sqaure shaped house found in the central South Korea region, have not drawnthe attentions so far. Knowing that the square house ha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theformation of Songgukri type, but also the Late Bronze Age (hereafter LBA) culture, it becomenecessary to build up the chronology and conduct a typological analysis on the square shapedhouses in advanc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square shaped house is subdivided into West coastalregion, Asan bay region, Upper part of the River Gum region and Middle·Lower part of theRiver Gum region. Considering the typological analyses of artifacts, distribution of types, and absolute date of site,it is lik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Stage I, the square shaped house appeared around 900 BC, Stage Ⅱis equivalent to the typeas called pre-Songgukri type, and it can not be traced back to earlier than 900 BC. Stage Ⅲ, it co-existed with Songgukri type dating 700 BC.Apart from building the temporal chronology, it appear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ateBronze Age culture by comparing it to Songgukri type in the study of the square house. Judging from overlapped location of houses of both types, a constant spread towards inland,and a profound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round shape and the square shape. it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exterior influence theory appears more plausible. It leads to the indication that not an uni-lineal temporal change, but the interaction betweenthe square shaped house community and the Songgukri type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to be a more crucial factor to understand the co-existence and spread of two different cultur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方形住居址의 分布와 構造的特徵
  1. 方形住居址의 分布
  2. 構造的特徵
 Ⅲ. 方形住居址出土遺物檢討
  1. 土器類
  2. 石器類
  3. 出土遺物의 段階設定
 Ⅳ. 方形住居址의 登場과 展開
  1. 方形住居址의 登場과 展開
  2. 松菊里類型과 方形住居址와의 關係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玄大煥(한국고고환경연구소 책임연구원) | 현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