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石器 組成比를 통해 본 靑銅器時代 生計와 社會經濟 KCI 등재

Subsistence and Socio-economy through Analysis of Stone Tools Assemblage in Bronze Age

석기 조성비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생계와 사회경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석기는 청동기인들의 실제적인 삶의 필요에 의하여 고안되었기 때문에 기능적 속성 파악을 통한 당시인의 생활방식이나 생계수단 등의 연구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기분석을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취락의 생계유형과 그 변화상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취락 간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물론 석기만의 분석을 통하여 취락의 생계경제를 언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지만, 고고학적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분석을 통하여 확인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단위 취락의 생계유형은 공통적으로 농경에 기반을 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자연지리적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렵이나 채집활동, 유적의 입지에 따라 어로활동까지 병행하는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논농사의 집약화에 의한 생산량의 증대와 농경 비중의 확대, 증대된 생산물을 차지하기 위한 집단 간 갈등과 교역을 목적으로 한 석기 생산량 증가 등의 변화상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해서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하는 취락이 후기부터 등장하였는데, 저장 중심 유적이나 제사 관련 유적이 다른 취락과 유사한 생계경제 방식을 취한데 반하여 교역 관련 유적은 농경에 의존하는 대신 교역 등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통하여 식량의 공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호서지역의 최상위 취락이라 할 수 있는 관창리유적과 송국리유적에 대한 조성비 비교 결과, 생계방식상의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Stone tools are produced by the necessity for their daily life, and archaeologists can approachthe prehistoric lifestyle or subsistence by the examination of their function. This paper aims atrevealing the change of subsistence in the Bronze Age settlement, and socio-economical relation-ships among them. Of course stone tool analysis alone gives us very limited information, but theauthor tried to shows one example from various approaches.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uthor revealed following things. Firstly, large settlements com-monly have their ground on agriculture, with engaged gathering, hunting and fishing making use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econdly, as the intensification to the wet-rice cultivation pro-gressed, we can recognized such results as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 of con-flict, and growth of stone tools making for trade.On the other hand, by the analysis of Hoseo area settlements, some of them seemed to play aparticular role among them in the Late Bronze Age. Specialized settlements for storage or ritualsettlements show similar stone tools assemblage with other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rade set-tlements do not rely on agriculture.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largesettlement sites; Gwanchang-ri and Songguk-ri showed the similar tendenc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石器의 機能別分類
 Ⅲ. 聚落別生計類型과 變化相
 Ⅳ. 湖西地域靑銅器時代聚落의 社會經濟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孫晙鎬(한국고고환경연구소 책임연구원) | 손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