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큰느타리버섯 재배의 최적 CO2 조건 KCI 등재

Optimal CO2 level for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59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CO2는 버섯의 발이를 촉진하고 갓의 생성을 억제해서, 담자포자를 가지는 주름(gill)의 발달을 억제하여 버섯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본 실험에서는 큰느타리버섯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CO2농도를 구명하려고 1,600, 2,400, 3,200ppm 이하의 농도에서 버섯생육 실험하였다. 방임처리구에서 수확율은 방임조건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8.6, 99.3, 93.8%로 2,400ppm이 가장 우수하였고, 병당 무게에서도 2,400ppm이 가장 우수한 102.5g이 수확되었다. 품질은 2,400ppm이 6.1, 1,600ppm에서 5.5로 111% 우수하였다. 솎음처리구에서 품질은 1,600, 2,400, 3,200ppm에서 9.4, 9.5, 8.0로 2,400ppm이 가장 높았다. 병당 수확량은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0.7, 98.2, 77.3g 이어서 방임처리구와 마찬가지로 2,400ppm에서 많은 수확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방임과 솎음처리구의 최적 CO2농도는 2,400ppm으로 사료된다.

Carbon dioxide(CO2) promotes development of primordia and depress differentiation of sporophore and gill containing basidia, have an effect on quality.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optimal level of CO2 for king oyster mushroom(Pleurotus eryngii). King oyster mushroom was cultivated under 1,600, 2,400, and 3,200ppm CO2. Harvest ratio in normal plot were 98.6, 99.3, and 93.8% at 1,600, 2,400, 3,200ppm, respectively, so 2,400ppm is optimal. The yield per bottle was 102.5g at 2,400ppm, better than 99.7g at 1,600ppm, The CO2 concentration of 2,400ppm was also the best condition for quality, 6.1 at 2,400ppm was 115% of 1,600ppm's. In thinning treatment plot, quality at 2,400ppm was 9.5 better than 1,600ppm whose quality was 9.4. The yields per bottle were 90.7, 98.2, 77.3g at 1,600, 2,400, 3,200pp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2,400ppm was optimal CO2 concentration for quantity of King Oyster mushroom as well as quality.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및  배지
  배양 및 생육환경조건
  솎기, 방임 및 자실체 특성평가
 결과 및 고찰
  CO2 농도에 따른 자실체 발생 특성
  방임처리구의 CO2 농도에 따른 자실체 특성
  솎음처리조건시 CO2 농도에 따른 자실체 특성
  생육일수별, 생육실 체적별 CO2 농도변화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류재산(경남농업기술원 식물환경연구과) | Jae-San Ryu
  • 김민근( 경남농업기술원 식물환경연구과) | 김민근
  • 조숙현( 경남농업기술원 식물환경연구과) | 조숙현
  • 윤용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대학 농공학과) | 윤용철
  • 서원명( 경상대학교 농업생명대학 농공학과) | 서원명
  • 이현숙(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이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