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표고버섯 주요 버섯파리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및 발생양상 KCI 등재

Molecular identification of fungus gnats from shiitake mushroom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5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는 가장 문제가 되는 주요해충이다.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를 입은 농가는 표고버섯의 생산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양식은 크게 원목과 톱밥배지에 의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재배양식의 차이 및 지역 간 주요 피해원인이 되는 버섯파리의 종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봄부터가을까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주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를 채집하였다. 채집은 황색 끈끈이트랩(참고,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였고 버섯파리의 종 동정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버섯파리류의 다양한종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원목을 이용하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우점종인것으로 나타났고,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B. difformi와 Scatopsidae sp.의종이 다량 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B. trispinifera, B.longimentura, B. chlorocornea, B. protohilaris 및Lycoriella ingenua가 동정되었다.

Fungus gnats are usually found in mushroom farm and have recently become important pest because theycan cause severe damage and reduce the production on shiitake mushroom. Usually shiitake mushrooms are cultivatedon both oak bed logs and in the artificial sawdust beds in greenhouses. Using yellow sticky trap, the dipteran speciesin shiitake mushroom farm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in Kyonggi-do and Chungcheong-do in 2013. To iden-tify the main species of fungus gnat on the shiitake farm in Korea, the collected samples were determined the sequence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by DNA barcoding. The phylogeny based on maximum likelihood analyses fromCOI sequence showed that Bradysia difformis and B. alpicola were main species of shiitake bed log and Scatopsidaesp. and B. difformis were dominant species of sawdust beds.

저자
  • 권선정(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Sun-Jung Kwon
  • 김형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형환
  • 송진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송진선
  • 김동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동환
  • 조명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조명래
  • 양창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양창열
  • 강택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강택준
  • 안승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안승준
  • 전성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전성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