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父母山城 출토기와에 관한 小考

父母山城出土的瓦小考

부모산성 출토기와에 관한 소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2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8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父母山城출토기와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진다. 즉 三國중, 百濟및 新羅기와이다. 기와의 종류는 수막새와 평기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는 전체 城과 성벽 및 至近거리에 있는 堡壘성격으로 보는 유적 중, 制限的이고 選別的인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모산성의 築城시기나 補築시기, 마지막 存續시기를 모두 말해줄 수 있다고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父母山城의 주요부인 城壁과 門址, 내부시설 遺蹟과 동 유적에서 출토된 적지 않은 기와등의 유물을 통하여 성벽의 축성시기와 보축 시기, 마지막 존속 시기의 단면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백제의 기와 중, 수막새는 아직 발견할 수 없었지만, 백제 평기와의 대부분에 관찰되는 통쪽와통(模骨瓦桶) 흔적 기와, 銘文瓦(印章瓦; 前, 後, 北등)는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특히 西門址에 접한 城壁內側에 접한 보축 층에서 출토된 평기와는 대부분의 이 통쪽와통에 의한 제작기법을 보여주었다. 백제기와는 제작 기법을 통하여 늦어도 6세기 중반경에는 이곳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라기와는 수막새와 평기와가 함께 출토되었다. 수막새는 單一한 1종의 문양이 출토된 점으로 보아 그 존속이 짧거나, 성벽의 사용기간이 짧았을 가능성을 말해준다고 판단된다. 그 시기는 古新羅말경에서 신라가 통일한 極初期경을 下限으로 한다. 특히 수막새는 제작기법에서 分離式기법을 이용하였는데, 방법이 稚拙하고 숙달된 솜씨라고 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신라기와의 등장과 존속으로 보면, 부모산성은 신라가 통일이후, 확고한 基盤을 잡은 후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그 존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았을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이는 이곳 출토 신라기와가 통일이후, 아직 삼국시대의 기와 제작기법과 문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루어 볼 수 있다. 따라서 신라가 통일 이후 신라만이 갖는 기와 (예컨대 경제성과 제작기법에서의 변화 등)제작을 하기 전에 부모산성의 폐쇄와 연계되었을 가능성을 읽게 한다.

父母山城出土的瓦片,大体可分作两类:一是三国百济瓦片,一是新罗瓦片。瓦片的种类包括瓦当和板瓦。迄今仅对山城内部与城墙,以及与之距离最近的、被推定为堡垒的遗迹进行了选择性的发掘,所以根据现有的资料,还不能推断出父母山城的初筑、补筑年代及存续时长。尽管如此,但是父母山城的主要部分,即城墙、门址、城内设施等遗迹,以及出土于该遗迹的大量瓦片等遗物,从一个侧面说明了城墙的初筑、补筑年代,以及存续的时间。至今出土的百济瓦片中,尚无瓦当,但是出土了大量具有百济板瓦特点的、存留有模骨痕迹的瓦片及铭文瓦(前、后、北等)。特别是在与西门址相连接的城墙内侧补筑层内出土的大量板瓦,大都留有模骨痕迹。通过百济瓦片的制作技术,可知至迟在6世纪中叶,这里就开始使用了这种瓦片。新罗瓦片,瓦当与板瓦共出。瓦当只有一种类型,且纹饰单一。由此可以推断出该类瓦当的存续时间较短,或者新罗使用该城墙的时间较短。瓦当的使用时段,年代下限为新罗末期至统一新罗初期。尤其是瓦当制作,虽然使用了分离式技术,但是其方法稚拙,技术尚不够成熟。如上,从新罗瓦片的出现及存续的时间,可知在新罗完成统一、定鼎半岛以后,从国家建设的角度而言,父母山城不再具有存在的必要性。这表明该地出土的新罗瓦片,制作年代在新罗统一以后、尚未摆脱三国时代瓦片制作技法与纹饰影响的时期。因此,我们亦可以推断,父母山城可能在新罗统一以后、尚未制作出新罗独有的瓦片之前,已经被废弃。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사 위치에 따른 출토기와 조사
  1. 집수정 내부 출토기와
  2. 집수정 외부 구지표층 출토기와
  3. 제1호 저장혈 및 주변 출토기와《제1호 저장혈 출토기와》
  4. 西門址출토 기와
  5. 서문지 동편 성벽 내․외측 출토기와
 Ⅲ. 기와에 관한 분석 및 고찰
  1. 수막새에 관한 분석 검토
  2. 집수정 내부 바닥층 출토 평기와
  3. 서문지 출토기와
  4. 성벽 내․외측 출토 기와
 Ⅳ. 맺는말
저자
  • 최맹식(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崔孟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