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업가 지향성과 네트워크 역량이 한국 중소기업의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Network Capabilities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4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네트워크 역량이론과 기업가 지향성이론에 근거하여, 기업을 설립한 후 3년 내에 해외에 신속하게 진출한 145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역량과 기업가 지향성이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동태적 역량이 이들 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혁신적 기업가 지향성 및 위험감수적 기업가 지향성이 국제화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 네트워크 조정, 네트워크 지식, 네트워크 소통역량이 국제화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동태적 조정역량과 동태적 변화역량이 기업가 지향성 및 네트워크 역량과 국제화 성과 간에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장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혁신적 기업가 지향성, 네트워크 지식역량, 네트워크 소통역량이 높을수록 국제화 성과는 높아지며, 위험감수적 기업가 지향성, 동태적 변화역량, 네트워크 조정역량의 경우에는 그것이 낮을수록 국제화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이들 요인들과 성과 간에는 동태적 역량이 별다른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network capabilities (NC), dynamic capabilities (DC) and managers on the international performance of small-and-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The study also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DC between NC, EO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We created a database consisting of data from 145 Korean SMEs and startups that had started exporting products and/or services within three years of firm’s foundation.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performanc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two dimensions of NC and also indicate that the innovativeness of EO fosters performance. Our findings also show that DC does not mediate between NC, EO,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EO, NC, DC, innovativeness, risk-taking, coordination between collaborating firms, knowledge about partners, internal communication, dynamic coordination, and dynamic transformation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Specifically, innovativeness and knowledge about partners enhanc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risk-taking,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collaborating firms have a negative effect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The ability of founders to create and develop an international firm becomes more important for SMEs than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Our study results also offer important insights on the differential impact of specific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performance between SMEs and multinational enterpri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기업가 지향성에 관한 연구
  2.2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연구
  2.3 동태적 역량에 관한 연구
  2.4 국제화 성과에 관한 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연구모형
  3.2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4.1 표본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방법
  4.2 표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Ⅴ. 분석결과
  5.1 조사대상 기업 및 응답자 특성
  5.2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5.3 연구모형 검증
 Ⅵ.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박은경(전남대학교 경영학부 강사) | Eun Kyoung Park 제1저자
  • 강태구(전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Tae-Koo K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