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충기생세균(Pasteuria penetrans) 내생포자의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유충 부착에 대한 온도와 선충종의 영향
선충절대기생세균(Pasteuria penetrans)이 감염되어 있는 온실토양을 이용하여 세균의 내생포자가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유충 표면에 부착하는데 대한 온도의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갓 부화된 뿌리혹선충 2령충(J2)을 페트리디쉬 내의 토양에 접종한 후 20℃, 25℃, 30℃, 35℃에서 7일간 처리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내생포자의 J2 부착률은 모두 100%로 나타났으나 J2당 내생포자 부착수는 25℃에서 28.3개로 가장 많았으며 30℃, 20℃ 및 35℃에서 각각 J2 당 20.2, 18.6 및 13.6개로 낮아졌다. J2를 접종하기 전에 세균이 있는 토양을 온도 별로 10일간 전처리하였을 때 내생포자 부착률은 실온에서의 60%에 비해 -30℃, 4℃, 40℃, 50℃ 및 100℃에서 각각 25.0, 31.7, 8.3, 5.0 및 0%로 현저하게 낮아졌다. J2 당 내생포자 부착수도 실온에서의 5.3개에 비해 -30℃, 4℃, 40℃, 50℃ 및 100℃에서 각각 3.5, 4.3, 1, 1, 0개로 적었다. P. penetrans 세균의 내생포자를 뿌리혹선충 종별로 J2에 부착 시험한 결과 땅콩뿌리혹선충에서는 100%였으나 당근뿌리혹선충(M. hapla)과 고구마뿌리혹선충(M. incognita)에서는 모두 0%로 본 균주는 뿌리혹선충 종에 대해 기주선호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A greenhouse soil infested with an obligate nematode parasitic bacterium, Pasteuria penetrans,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endospore attachment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arenaria, juveniles (J2). Freshly hatched J2s were inoculated to the soil in petri dish and incub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of 20℃, 25℃, 30℃, and 35℃ for 7 days. The endospore attachment rateswere 100% in all the temperatures, while the number of endospores attached per J2 was highest in 25℃ with 28.3 endospores/J2 followed by20.2, 18.6, and 13.6 in 30℃, 20℃, and 35℃, respectively. When the soil was pre-tre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before the J2 inoculation, the endospore attachment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0% in room temperature to 25.0, 31.7, 8.3, 5.0, and 0% after the soil incubation in -30℃, 4℃, 40℃, 50℃, and 100℃ for 10 days, respectively. The endospore numbers attached per J2 were 3.5, 4.3, 1, 1, and 0 when thesoil was pre-treated in -30℃, 4℃, 40℃, 50℃, and 100℃,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5.3/J2 of room temperature treated soil. The P. penetrans isolate in the soil showed nematode species-specific endospore attachment characteristics with 100% attachment rate only on M.arenaria J2s while the rates were 0% on M. hapla and M. incognita J2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