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싯잎 가루를 첨가한 찰보리 찐빵의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arley Bread added with Ramie Lea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1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에 의하면 보리와 모싯잎을 첨가하여 찐빵을 제조하여 관능검사와 기계적 측정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개발과 보리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였다. 기능성 식품인 찰보리와 모싯잎 가루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싯잎 가루를 첨가한 보리찐빵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찐빵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는 모시 찰보리 찐빵은 찰보리 찐빵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보리와 찰보리의 시너지 효과로 보인다. 색도 측정을 한 결과, L값은 밀찐빵이 가장 높았고, 찰보리 찐빵이 가장 낮았다. a값은 모시 찰보리 찐빵이 유의적으로 그룹간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찰보리 찐빵이 가장 높았다. b값은 모시 찰보리 찐빵이 16.18로 가장 높았고, 찰보리 찐빵이 가장 낮았다.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밀찐빵에 비해 찰보리 찐빵과 모시 찰보리 찐빵 간에는 경도가 높고, 찰보리 찐빵과 모시 찰보리 찐빵 간에는 경도 차이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탄성력이 모시 찰보리 진빵이 높았고, 부착성이 월등이 낮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모싯잎을 첨가한 찰보리 찐빵의 관능검사 결과, 색, 향미, 맛, 촉촉함,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를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모시 찰보리 찐빵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찰보리 찐빵과 대조군(밀찐빵)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모싯잎을 첨가한 밀가루와 보리가루의 비율이 7:3인 찰보리 찐빵이 가장 높은 관능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모싯잎을 첨가한 찰보리 찐빵은 높은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품질 특성을 향상시켰고, 기호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찰보리와 모싯잎을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식품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을 높이는데 공헌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creased consumption of a polysaccharide, β-glucans, in foods may prevent health related problems such as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abetes. β-glucans is a fibrous polysaccharide having proven both functional and medicinal properties. Recently, the FDA recommends the consumption of oat or oat products containing a total of at least 3 grams of bea-glucans per day for health improvement. The content of β-glucans in barley was almos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in oat.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teamed barley bread added with ramie leaf powder was investigated. The study of sensory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using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30 panelists were selected among our university students. They then evaluated the different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overall preference, color, flavor, chewiness, moistness and taste. The color and texture analyses were determined using a colorimeter and texture analyser, respectively. In the sensory, color and texture evaluation, barley bread with ramie leaf showed higher values than barley bread and wheat bread di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ence, barley appears to be a suitable food resource for making bread. This study suggests that barley bread added with ramie leaf can be used as one of the processing methods in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barley. It might also help with the improvement of barley food industry.

저자
  • 김지현(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m, Ji-Hyun
  • 김세정(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세정
  • 윤정미(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