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리방법에 따른 고사리의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1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조리방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에 따른 고사리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80% ethanol에서 추출한 고사리의 추출수율은 볶은 후가 4.2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데치기전이 2.69%로 높았고, 데친 후가 0.30%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볶은 후가 96.11±0.34 mg GAE/100 g R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경우에도 볶은 후가 20.90±0.28 mg CE/100 g R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가지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볶은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볶은 후 고사리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고사리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eruginosa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는데, 5 mg/disc의 농도에서 10±0.71 mm, 10 mg/disc의 농도에서 10.25±0.35 mm의 생육 저해 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데친 후와 볶은 후의 고사리는 어떠한 균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항균활성 측면에서 고사리는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건조나물의 특성상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에 불리고 데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또한 고사리는 발암성분인 청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데치는 조리과정을 거친 후 섭취해야 한다. 데치는 과정을 거치면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손실되지만, 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됨으로써 데치기전보다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므로 고사리는 데치거나 볶는 과정을 거쳐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yield of extract, antioxidant compounds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antioxidant (DPPH assay,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non-blanched, blanched and seasoned). The yield of seasoned bracken extracts showed a high value of (4.59%) followed by non-blanched bracken and blanched bracken with 2.69% and 0.30%, respectively. I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easoned bracken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compounds (96.11±0.34 mg GAE/100 g RW, 20.90±0.28 mg CE/100 g RW) than non-blanched and blanched.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seasoned bracken > non-blanched bracken > blanched bracken. I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non-blanched bracken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B. subtilis, E. cloacae, E. coli, S. enterica, and P. aeruginosa except for S. aureus. The non-blanched bracken extracts (5 and 10 mg/disc) especially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 aeruginosa (10.00±0.71 and 10.25±0.35 mm).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from the extracts of blanched bracken and seasoned bracken was not detected. Many seasonings added in the process of cooking can increase the antioxidant capacitie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oked bracken with seasoning would be the most efficient way of ingesting antioxidant compounds.

저자
  • 박초희(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ark, Cho-Hee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