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 語彙 意味 把握 經路 KCI 등재

he process of grasp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한자 어휘 의미 파악 경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의 焦點은 학습자의 ‘漢字 語彙’ 意味 把握의 經路에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 따르면, ‘漢字語’, ‘한자 어휘’는 국어과의 어휘 교육, 한문과의 전 영역과 관련되는 학습 내용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漢文』, 『국어』교과서에 기술된 한자 어휘 의미 提示 방식을 비평적으로 분석한다. 주지하듯이, 교과서의 주요 機能 가운데 하나는 교수의 節次와 학습의 過程 제시라고 할 수 있다. 곧, 교사에게는 교수 절차를 案內하는 자료의 하나로, 학습자에게는 학습 과정을 紹介하는 자료의 하나로 교과서는 활용된다. 그런데, 한자 어휘의 경우, 교과서에 제시된 어휘의 의미[뜻] 제시 방식이 바로 학습자의 한자 어휘 의미 파악의 一次 경로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어휘 의미 제시 방식을 통해 학습자는 한자 어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端緖와 학습 전략을 獲得하게 된다.우선, 한자 어휘 의미 파악의 ‘국어식’ 通路로 『국어 사전』에 登載된 어휘 풀이 에 근거한 이해 방식을 들 수 있다. 국어 體系를 따른 풀이는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形態素로써의 機能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시점에서 通用되는 의미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인데, 한자 어휘를 구성하는 개별 形態素인 한자의 字義와 단어의 짜임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 경로와 무관하지 않은 방식으로 ‘文脈的 정보의 활용’을 거론할 수 있다. 한자 어휘의 의미를 한자 어휘가 사용된 狀況 脈絡을 통하여 拾得하는 방식인데, 한자의 字義나 단어의 짜임과 無關한 점은 동일하다. 두 가지 경로 모두 한자 어휘 의미의 曲解와 誤用이 심화된다.이 글에서 한자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인 한자의 字義에 근거한 한자 어휘 의미 파악 경로를 강조했다. 한자 어휘를 구성하는 한자를 倂記하고, 한자 어휘의 의미에 적합한 한자의 음과 뜻을 羅列하여 학습자가 한자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식인데, 한자 어휘 의미의 정확한 이해와 그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統辭的 構造에 근거한 한자 어휘 이해 방식도 주목된다. 한자 어휘의 文法 構造를 고려한 한자 어휘 의미 제시는 학습자가 한자 어휘의 本義를 파악하는데 相補的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학습자가 한자 어휘를 학습하는데, 국어 사전, 文脈, 언어적 환경 등의 요인도 작용하지만, 한자 어휘를 구성하는 한자의 字義, 자의에 근거한 語義, 그리고 어휘의 문법 구조가 한자 어휘 의미 파악의 주요 경로이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exmaining the process of grasp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According to the current curriculum, Sino-Korean word and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re related to vocabulary ran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ole rang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solve this subject, way of presentation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ge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critically analyzed.The first thing is the style of Korean languge education, which explains the words such as dictionary. Familiar style, the second thing, is to explan the meaning of words in context. The meaning of Sino-Korean word and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s comprehended in context or circumstances. Two things are unrelated to the meaning or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 Two things make learners to deepen mis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the words.In this study, I emphasize other process of grasp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is process is to grasp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way of this process makes learn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as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in parenthesisand listing the proper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It makes them to understand and use the words correctly. Addition to this, the style based on syntactical frame is noted. The latter is in complementary relations. Finally, when learning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ough all the aforementioned things have a strong influence on learners’ understanding, the meaning based on each characterand syntactical frame is the most major process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本文焦點在於學習者掌握 「漢字語彙」 意義的路徑.根據現行的教育課程,「漢字語」、「漢字語彙」乃是與國語系的語彙教育、漢文系的各領域相關的學習內容.為解決此一課題,本文將針對《漢文》、《國語》教科書中收錄之漢字語彙意義的提示方式,進行深入分析.眾所周知,教科書的各種功能之一,便是提示授課的節次與學習的過程.亦即對於教師而言,教科書是提示授課節次的資料之一;對學習者而言,教科書則是引導學習過程的資料之一.而就漢字語彙的情況來看,教科書所收錄的語彙意義提示方式,可以說就是學習者掌握漢字語彙意義的一次路徑.換言之,透過教科書中出現的漢字語彙意義提示方式,學習者將可獲得有效掌握漢字語彙意義的線索與學習策略.首先,作為掌握漢字語彙意義的「國語式」路徑,我們將探討以《國語辭典》登載之語彙解釋為基礎的理解方式.依照國語系統的解釋,並沒有考量到作為構成漢字語的漢字形態素之功能,其說明方式是以目前通用的意義為中心,而沒有考量到構成漢字語彙的個別形態素,即漢字的字義與單詞的結構.「對文脈信息的運用」,也是與此一路徑相關的方式.這是透過使用漢字語彙的情境脈絡,獲得漢字語彙意義的方式,同樣與漢字的字義或單詞的結構無關.致使漢字語彙意義的曲解與誤用更加嚴重.本文強調的是,依據構成漢字語的形態素之漢字的字義,掌握漢字語彙意義的路徑.同時標記構成漢字語彙的漢字,列出適合漢字語彙意義的漢字字音與字義,使學習者掌握漢字語彙的意義,此一方式使漢字語彙意義的正確掌握與活用變得可能.考量漢字語彙的文法結構之漢字語彙意義提示方法,在學習者掌握漢字語彙本義方面,發揮互補的功能.其結果,學習者在學習漢字語彙時,國語辭典、文章脈絡、語言環境等要素雖然有一定作用,然而依照構成漢字語彙的漢字字義,以字義為基礎的語義,以及語彙的文法結構,才是掌握漢字語彙意義的重要路徑.另一方面,從國語系的語彙相關學習內容,正與漢文系的漢字語彙領域學習內容產生密切關聯,以及漢文系的漢字語彙意義掌握能力的培養與學習效果,已轉移至國語系的語彙學習這兩點來看,國語系與漢文系內的漢字語彙領域,並非互相排斥的關係,而是「互補」的關係.

목차
Ⅰ. 序論
 Ⅱ. 漢字 語彙 關聯 學習 內容
 Ⅲ. 漢字 語彙 意味 把握 經路
 Ⅳ. 結論
저자
  • 金王奎(韓國敎員大學校 敎授) | 김왕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