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文讀法의 韓國的 特殊性

关于汉文读法的韩国之特殊性 -句讀, 懸吐, 口訣-

한문독법의 한국적 특수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239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글 創製 이후 방대한 한문전적에 대한 諺解 작업은 가속화되어, 四書三經으로 대변되는 經書의 諺解뿐 아니라, 杜詩諺解를 비롯하여 武藝圖譜通志諺解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文勢와 語脈을 파악해서 句讀를 떼고, 文義를 고려하여 口訣을 사용하여 懸吐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문전적을 제대로 읽고 감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연구는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상황이다. 최근 새로 발굴된 李森煥의 「句讀指南」, 任圭直의 「句讀解法」, 朴文鎬의 「俚讀解」는 句讀와 懸吐, 口訣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로서, 당시 이와 관련한 學派 혹은 學脈을 대변한다.우리의 句讀는 중국과는 다르며, 특히 懸吐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句讀를 구분하더라도 어떠한 吐(口訣)를 붙이느냐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새로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句讀와 懸吐, 口訣의 내용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文義을 중시하며, 文勢와 語脈을 고려한다. 2. 행위의 주체, 서술의 주체, 時制, 態, 문장구조 등을 고려한다. 3. 虛字, 助辭 등을 주목하고 우리의 언어표현(尊稱)을 고려한다. 4. 특정 學派 혹은 學脈의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인식을 대표한다. 李森煥의 「句讀指南」은 懸吐와 口訣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助辭의 용법을 특기하여 간략하게 정리한다. 한편, 任圭直의 「句讀解法」은 그 내용과 체제가 상세하고 체계적이며, 懸吐와 口訣은 그 사례가 다양하고 상세하다. 특히, 句讀와 懸吐, 口訣에서 文義를 중시하고 文勢와 語脈을 고려하였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朴文鎬의 「俚讀解」는 문법이나 구조에 따른 기계적 설명과는 달리, 文勢와 語脈을 십분 고려하여 축약한 형태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현대 국어의 문법과 그 연관성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더욱이 19세기 무렵 다방면에 걸쳐 문헌전적에 대한 수집 · 정리 작업이 진행되었던 상황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韩文(訓民正音)被创制后,不仅对以四书三经为代表的经书谚解外,而且从「杜诗谚解」到「武艺图谱通志谚解」为止,对汉文典籍的谚解工作就在许多方面加速地、持续地进行。因此,只有经过把握文势和语脉而摘下句读、考虑文义、使用口诀而悬吐的过程,才能把汉文典籍照原样阅赏。然而,对句读、悬吐、口诀的研究成果没有什么进展。最近新发掘的李森焕的「句读指南」、任圭直的「句读解法」、朴文镐的「俚读解」是把句读、悬吐、口诀体系整理的资料,这能代表当时与此相关的学派或学脉。我们的句读与中国不同,特别是与悬吐有密切相关。因此,区别句读时,按照添加什么样的吐(口诀),其内容和意味完全不同了。基于新发掘的资料,这可以进行整理句读、悬吐、口诀的内容和特点,如下:1。重视文义,考虑文势和语脉。2。考虑行为的主体、叙述的主体、时制、态、文章结构等。3。关注虚字、助辞等,而考虑我们的语言尊称。4。代表特定学派或学脉的对句读、悬吐、口诀的认识。李森焕的「句读指南」是把悬吐和口诀概括地说明,特写助辞的用法而把它简略地整理。另一方面,任圭直的「句读解法」是其内容和体系比较详细和体系化,悬吐和口诀的案例又多样又详细。特别是在句读、悬吐、口诀上,很重视文义,考虑文势和语脉。最后,朴文镐的「俚读解」是与随着文法和结构的机械的说明方式不同,是十分考虑文势和语脉而简缩的形态。这些资料是可被认为可以评价与现代国语文法的连贯性的一份可贵的资料。尤其是,这可以说与19世纪左右对文献典籍的收集、整理工作进行的情况有一定的联系。

저자
  • 崔植(成均館大學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