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楷書體의 字形敎育과 變異字素

해서체의 자형교육과 변이자소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261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한자의 해서체는 오랜 기간 동안의 규범화과정을 거쳐 정리된 것이지만, 그 학습과 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별 자소의 변이형태가 워낙 많다는 점이다. 한자는 隷變 이후 자형 자체의 象意性은 많이 훼손되어 대부분의 개별 자소들이 符號化되긴 하였지만, 여전히 義符 혹은 音符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자소의 사용위치 혹은 결합대상이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자의 학습과 운용과정에서 봉착하게 되는 난제들 가운데 해결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는 몇 해에 걸쳐 한자의 자소추출 및 정리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10년에는, 고문자 계통에서의 특정한 자소의 자형이 예서를 거쳐 해서체 자형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동일한 형태로 정리된 경우 등의 자소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변이형태를 분석、정리하여 「한자 해서체 자형에 나타나는 자소의 변이형태 小考」라는 제목으로 졸고를 발표한 바 있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형교육 현장에서 변이자소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공론화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적출 될 것이며,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한자학적인 관점에서의 변이자소와 실용적 문자체계로서의 변이자소를 동일한 기준으로 일일이 구분하고 분석해야 한다면 오히려 교육현장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 한자의 범위설정도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코 개별 연구자 몇 명에 의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 다만, 논의의 시작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는 시급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본고는 기왕에 설정되어있는 「교육용 기초한자」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출현하는 개별 변이자소를 분석 정리하고, 그 활용방안에 관한 개인적 의견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중국 교육부에서는 2009년에 공포한「현대 상용한자의 部件 및 부건명칭 규범(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을 통하여, 현대한어 3500 상용한자의 514개(441組) 部件을 제시해 놓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는 해서체에서도 운용되고 있는 ⺈(負字頭)、⺧(告字頭)、(春字頭)、(靑字頭)、⺢(水底) 등의 변이자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자소 및 변이자소가 모두 정리되어 학계의 논의를 거쳐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기초한자」의 부록으로 構形素로서의 자소목록이 제시되어,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rough a long term process of standardization but have many big and small problems in terms of study and application. One of them is the enormous number of variants of individual graphemes. Chinese characters had the meaning-representing of the forms themselves much damaged after the change to clerical script, and most of the individual graphemes were encoded but still function as the parts of meaning or sound. However, they also take completely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locations or the objects and methods of combination in many cases. Those phenomena are part of the most demanding issues to solve when studying and applying Chinese characters. The investigator has invested several years in extracting and sorting out graphemes in Chinese characters with interest and presented preliminary results. In 2010,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paper titled "A Study on the Variant Forms of Graphemes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 of Kaishuti," which analyzed and sorted out the variant forms of graphemes when there were two or more character forms or two or more different graphemes were arranged in the same forms as the forms of certain graphemes settled down in the form of Kaishuti through Lishu in the family of ancient character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some ways to make use of variant graphemes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forms based on those findings and gather some opinions regarding the subject. There will be a good number of issues to emerge in the process, and the most serious one will concern the risk that more confusion will be added to the education if the variant graphem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those as part of a practical character system are to be individually distinguish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In addition, it is no simple matter to set the scope of Chinese characters to be analyzed. Those issues cannot be solved by a couple of researchers, and it is urgent to get some basic data to initiate the discussion. Thus the study set out to analyze and sort out the individual variant graphemes found in the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whose scope has already been set, as well as to provide some personal opinions regarding their utilization plans.

저자
  • 박추현(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 Park, Ch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