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Textless Songs in Opera
이 글은 오페라에 사용되는 가사가 사라진 성악가의 노래에 대해 주목하고 그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초연 시기와 지역이 다른 세 개의 오페라,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들리브의 《라크메》 그리고 푸치니의 《나비부인》에 등장하는 가사가 사라진 노래 장면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와 역할을 제시한다. 첫째,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속 가사가 사라진 노래는 성악가의 초인적인 연주기량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들리브의 《라크메》에 등장하는 가사와 반주가 모두 사라진 노래는 음악극 속에 삽입된 노래장면을 표현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푸치니의 《나비부인》의 허밍 코러스는 가사와 몸이 사라진 노래로 주인공의 내면의 목소리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작곡가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상태, 장면의 분위기 등을 오페라 속 성악가의 노래에서 가사를 의도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textless songs in opera. For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three operas, Wolfgang Amadeus Mozart's Die Zauberflöte (K.620), Léo Delives's Lakmé, and Giacomo Puccini's Madama Butterfly. As a result, 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textless songs in the three operas are as follows: the textless staccato phrase of the Königen der Nacht's aria in the 2nd act of Die Zauberflöte, '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 has a role of emphasizing the singer’s virtuosity and her wrath; the textless melisma without instrumental accompaniment of Lakmé in the 2nd act of Lakmé is used for the attention for a singing-scene inside of the opera; textless song without the body of the chorus in the 2nd act of Madama Butterfly takes a role for expressing the inner voice (voci interne) of the protagonist.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at the opera composers inserted the textless songs in operas to reflect characters, emotions, mental states, and atmosphere of the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