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考古資料를 통해 본 悉直國

Shiljikguk from the Perspective of Archaeological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5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강원 동해안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정치세력의 대표적인 집단은 濊國과 悉直國으로서, 이들은 濊[東濊]계의 일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금까지 실직국에 대한 연구는 문헌사적, 역사고고학적, 순수고고학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직국의 실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 이해는 현재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삼척·동해지역으로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여 최근까지 조사된 철기시대 유적·유물을 검토하여 실직국의 문화 양상과 그 변천과정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실직국 관련 철기시대 유적들은 영동지방에서와 같이 해안사구지대에 입지하는 呂자형·凸자형 주거지와 중도식토기를 공반하고 있어, 소위 中島類型文化를 공유하는 동예와 동일한 문화권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직국 관련 철기시대 주거지들은 대체로 呂자형·凸자형 주거지가 시기적으로 선행하고, (장)방형계 주거지가 후행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일부 凸자형 주거지와 (장)방형계 주거지가 늦은 시기까지 함께 공존하는 양상도 파악된다. 실직국 관련 유적 중, 동해 송정동유적은 지금까지 영동지방에서 최대 규모의 마을유적으로 확인된 점, 최고의 위계를 상징하는 유물과 주변지역(한군현, 진한, 변한, 마한 등)과의 활발한 대외교섭 행위를 시사하는 외래적인 유물들이 다수 출토된 점, 철기생산과 직접 관련된 공방지가 존재하는 점 등에서 실직국과 관련된 강력한 집단세력이 거주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실직국의 장례문화는 종족상으로 보아 옥저와 같은 가족장을 위한 지상식 대형목곽묘를 공유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오늘날까지 지상에 남아 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이해된다. 실직국에 거주했던 예의 종족들이 남긴 물질문화를 통해서, 실직국은 적어도 기원 1세기부터 기원 4세기 무렵까지 동예사회의 공통적인 물질문화를 유지하였으며, 한군현과 진변한 등 주변 세력과의 대외관계를 통해 선진문물을 적극 수용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최근까지 확인된 실직국 관련 고고자료를 통해서, 실직국은 대체로 강릉의 예국사회와 같이 대동소이한 문화변동의 단계를 거쳐 전통문화가 점차 해체되면서, 신라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신라화 과정을 겪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직국은 적어도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초에 신라문물이 유입되고 확산되면서 이후 토착문화를 대신하여 신라 영역화에 따른 신라문화권으로 완전히 변화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Yaeguk and Shiljikguk are the representative groups of political power that existed in eastern coast of Gangwon during ancient times. These groups seem to come from Yae (Dongyae). Up to date,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Shiljikguk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historical archaeology, and pure archaeology. However, detailed and rational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true identity of Shiljikguk is not sufficient at present. This study reviewed the relics and remains of the Iron Age that were investigated until recently by limiting the spatial cope to the areas of Samcheok and Donghae (eastern coast), and examined the culture as well as transition process of Shiljikguk. The remains of the Iron Age related to Shiljikguk include earthenware of Joongdo type as well as dwelling of 呂 shape and 凸 shape that can be found in the area of Coastal Dune that are similar to the area of Yongdong. This leads to assume that it belongs to the same cultural area as Dongyae that shares "Joongdo type culture). Dwellings related to Shiljikguk of the Iron Age shows a pattern of which 呂 shape and 凸 shape dwellings precede, followed by rectangular shape in general, but in certain cases, both types of 凸 and rectangular dwellings appear to have coexisted until the late period. The facts that the remains of Songjeongdong, Donghae were found to be the largest village remain in Yeongdong area until now among the remains related to Shiljikguk, that relics symbolizing the highest hierarchy as well as various foreign relics have been excavated demonstrating active foreign trade activities with surrounding areas (Hangunhyeon, Jinhan, Byeonhan, Mahan, etc.), and that workshop site related to iron production existed, all lead to the conclusion that powerful group related to Shiljikguk resided.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ribe, funeral culture of Shiljikguk appears to have consisted of large wooden chamber tomb on the ground for family like Okjeo, and it is unlikely that it still remains at present. From the culture left by the tribe of Yae who resided in Shiljikguk, it can be understood that Shiljikguk maintained material culture common to Dongyae at least from 1st to 4th century, and that Shiljikguk actively accepted advanced culture through foreign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owers such as Hangunhyeon, Jinhan and Byeonhan, etc.Through the recent archaeological evidences, it can be assumed that traditional culture Shiljikguk disappeared gradually through cultural change identical to Yaeguk society of Gangneung, and experienced of becoming like Shilla through close relationship with Shilla. Through such process, Shiljikguk seems to have become absorbed completely to Shilla culture instead of maintaining traditional culture since Shilla culture came in and expanded at least in the late 4th century or early 5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실직국의 관련 유적과 유물
  1. 유적 분포 및 현황
  2. 주거지와 유물
  3. 무덤[분묘]
 Ⅲ. 실직국의 문화 양상과 변천
  1. 실직국의 문화적 양상
  2. 실직국의 문화 해체와 신라화
 Ⅵ. 맺음말
저자
  • 이상수(관동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Lee, Sa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