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학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교육에서 ‘통찰’의 개념 탐색

Review of the Meaning of 'Insight' for Applying in Engineering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5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교육컨설팅연구 (The Journal of Educational Consulting)
한국교육컨설팅학회 (The Korean Academic Society for Educational Consulting)
초록

사회적으로 공학적인 지식을 일상 생활이나 다른 영역에서 발휘하는 융복합 인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함께 공학교육에서도 공학도들에게 인문학적인 사고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여러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통찰력은 공학전문가에게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의 하나로 범주화되지는 않지만, 공학적 문제해결이나 사회 및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 선도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다. 통찰력은 분석적이고 절차적인 사고력과는 다른 종합적이며 평가적인 사고력을 의미하며, 즉각적인 이해를 통해 지식을 산출하는 직관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등 고차적 사고력이 필요한 문제해결과정에서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학도들이 다양한 이론과 기술을 현실에 효과적으로 접목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하나로 통찰력을 상정하고, 통찰력의 개념과 작동 메커니즘을 여러 이론과 학문을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공학도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통찰과 관련된 역량을 분석한 후, 통찰력 교육의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공학도를 위한 통찰력 배양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이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cepts and mechanism of insight and to explore the appl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s need to have the variety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practical power. Insight does not categorize the competency for engineer, however, it is the element of forcing to work the mechanism of core competencies. It defines the thinking skills which is related to intui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ogical thinking. Engineers are accustomed to logical and analytical thinking, however, they have not experienced the intuition and insight. To develop the practical product, engineer need to have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to learn relationships within a model, context, or scenario. This study identify and suggest the core elements of teaching for cultivating the insight of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 based o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insight for engineer education.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통찰의 개념
  1. 사전적 의미에서 통찰의 개념 분석
  2. 인문학에서 통찰의 개념 분석
  3. 심리학에서 통찰의 개념 분석
 Ⅲ. 교육적 의미에서 통찰
  1. 통찰학습
  2. 고차적 사고력과 통찰
  3. 통찰력의 작동기제로서 직관
 Ⅳ. 통찰력 발현의 메커니즘
  1. 문제해결과정에서 통찰의 발현
  2. 창의적 사고과정에서 통찰의 발현
 Ⅴ. 공학도 역량과 통찰력
  1. ABEEK의 학습성과 분석
  2. 외국의 공학역량 분석
  3. 공학도에게 요구되는 통찰력 교육의 요소 탐색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 Hong, Seong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