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기술인력의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Gender Pay Gap of Scienceand Engineering Labor For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창조경제를 견인하기 위해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시되는 환경에서 여성과학기술인력의 활용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노동의 시장가격인 임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차별을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axaca-Ransom 임금분해 방법(1994)을 활용하여 과학기술인력을 대상으로 남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성별 임금 분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인력의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의 평균 임금 수준은 남성의 65%에 불과하며, 학력 등 개인적 특성에서 남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면 여성과 남성 모두 학력・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 및 주당근로시간이 많을수록, 관리자 직종에 근무할수록 임금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과 여성의 임금분해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기술인력의 경우 개인적 특성에 의한 생산성 차이가 약 58%, 노동시장에서의 특성에 기인한 성별에 의한 차별은 41%로 나타났다. 비과학기술인력에 비교하였을 시 과학기술인력이 생산성으로 인한 임금격차가 크며 성별에 의한 차별은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별 및 학력별로 분석한 결과 성에 의한 여성차별은 전체 인력 중 여성의 비율이 낮을수록 노동시장에서 임시근로자 비율이 높을수록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불균형 현상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여성스스로는 개인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Employing femal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with diversity and creativity emerging as key factors to build Creative Econom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discourag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by analyzing wages – the market value of labor which determines one’s economic status. This study uses the Oaxaca-Ransom decomposition (1994) to analyze the gender wage gap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ay gap in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 f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wage of female scientists and engineers reaches only 65% of that of male labor force, and the male scientist and engineers are superior in terms of personal attributes, for instance, education background. Second, looking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wages, wage premiums are associated with higher education background, older age, longer period of service, and weekly working hours for both male and female in managerial positions. Third, the wage decomposition shows that in the case of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 force, the productivity difference by personal attributes reaches about 58%, and gender discriminat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stands at about 41%. This means the wage gap by productivity level in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 force is wider, and the gender gap is smaller compared to non-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However,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specialties and education background of male and female scientists and engineers suggest that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more serious when the percentage of the female labor force is low and the percentage of temporary workers in the labor market is high. In order to eliminate this discrimin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mbalance of female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labor market, among others, while female scientists and engineers, themselves,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Ⅳ. 기초통계량 및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심정민(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박사과정, KISTEP 부연구위원) | Jung-Min Shim
  • 박진우(KISTEP 연구원) | Jin-Woo Park
  • 조근태(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기술경영학과 교수) | Keun-Tae Ch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