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해 수종간의 관계 및 수종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파악하고, 군집분
석을 이용하여 두타산 일대 천연림을 대상으로 산림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주요 수종들의 상호관계를 나타내었고, 요인분석을 통해 수종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요인점수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산림유형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군집분석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수종간 상관관계분석 결과와 요인분석 결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종 구성에 미치는 첫 번째 요인은 산림천이과정에 의한 소나무의 쇠퇴현상이었다. 두 번째 요인과 세 번째 요인은 각각 계곡의 생육환경과 산복의 생육환경이었다. 두타산 일대 산림의 수종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산림유형을 분류하였고 분산분석을 통해 분류 결과를 검증한 결과, 총 4가지의 산림유형(신갈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피나무군집, 소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factors affecting
species composition by factor analysis and to classify forest types of natural forests in Dootasan. We examined the correlation (positive or negative) of the major species by correlation analysis, the selection of three factors affecting the species composition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factor scores, and the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forest type classification by ANOVA. The outputs of correlation analy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ose of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affecting species composition was found to be the decline phenomenon of Pinus densiflora during forest succession process. The second and third factors were growth environments in valley and slope, respectively. The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ree factors affecting the species compos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four forest types as follows: Quercus mogolica-Acer mono-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Tilia amunrens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dominant species of each community in the four classified forest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