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밤재배원에서 유살등 구조 및 램프의 종류가 해충 유인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Light Trap Structure and Lamp Type on the Attraction of Chestnut Pests in an Orchar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3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밤재배원에서 램프광선을 이용한 방제기기(A, B, C형)를 개발하여 램프의 종류에 따라 유인된 곤충의 포획력을 조사하였다. A형 기기에서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포획된 곤충은 125종이었고, 이 중 밤나무 해충은 23종만을 종 동정하였다. B형과 C형의 기기에 컴팩트형광 램프를 부착하여 포획성능을 검정한 결과 B형기기에서는 딱정벌레류(83%), C형 기기에서는 나비류(73%)의 유인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기기를 이용한 밤바구미의 성충에 대한 램프의 유인 포획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수은투명 램프(평균 9.8마리)에서 유인포획 효과가 가장 높았다. C형 기기를 이용한 복숭아명나방의 성충에 대한 유인 포획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컴팩트형광 램프(평균 10.2마리)를 이용한 기기에서 포획수가 가장 많았다.

The effects of insect capture were studied in a chestnut orchard using three different light traps (A, B, and C type) with various lamps. The mercury lamp trap captured 125 insect species, out of which 115 were chestnut pests. The B and C type light traps, comprising a Dulux-EL white lamp, were examined for their capturing ability. The type B trap attracted Coleopteran insects (83%), while type C captured Lepidopteran insects (73%). The mercury clarity lamp along with the type B light trap was most effective in attracting Curculio sikkimensis adults (mean, 9.8 adults), while the Dulux-EL lamp captured the highest number of Dichocrocis punctiferalis adults (mean, 10.2 adults) using the type C light tra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types of light traps and lamps based on the target pest species is critical in ensuring effective and eco-friendly control of the pest population.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램프 광선을 이용한 밤재배원의 해충방제기기 개발   A형기기를 이용한 밤재배원에서의 해충 유인램프 선발 및 포획곤충의 종류 탐색   B형과 C형 기기의 포획성능 검정   B형과 C형 기기를 이용한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에 대한 유인램프 선발시험  결과 및 결론   A형 기기에서의 램프별 유인력 검정   기기별 포획 성능 검정   복숭아명나방에 대한 효과적인 유인램프선발   밤바구미에 대한 효과적인 유인램프 선발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영재(충청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Kim, Young-Jae
  • 김현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현경
  • 김길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길하